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발생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가 장기화되면서 국민들의 행정 서비스 이용에 큰 불편이 초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복구 작업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제공하며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다.
지난 10월 2일,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주재로 열린 중대본회의에서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따른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신속한 정상화를 위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 결과, 10월 2일 오전 6시 기준으로 총 110개 시스템의 복구가 완료되어 서비스가 재개되었다. 특히, 긴 추석 연휴를 앞두고 국민들의 안전과 재난 관리에 필수적인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가 복구되었으며, 국가의 각종 기록물을 관리하는 국가기록포털 역시 정상 운영을 시작했다.
윤호중 중대본부장은 회의에서 “추석 연휴를 앞두고 국가 행정전산망 장애로 국민 여러분께 불편과 걱정을 끼쳐드리게 된 점 송구스럽다”고 사과의 뜻을 전하며, “필수적인 행정 서비스부터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최우선 순위를 두고 복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해 정부는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까지 현장에 투입하는 한편, 어제는 하정우 대통령실 AI 미래기획 수석이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복구 단축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또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전문 연구기관의 인력도 복구 작업에 참여하여 시스템의 안정성과 재발 방지를 고려한 근본적인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사태로 인한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인해 발생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과거에 사용되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 상담 서비스를 재개했다. 또한, 복구된 시스템과 주요 서비스 현황을 네이버와 카카오를 통해 수시로 갱신하여 국민들이 관련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더 나아가, 정부는 복구 속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예비비를 투입할 계획이며, 시스템 중단으로 인한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관별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제공하고, 미흡한 사항은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갈 방침이다. 윤호중 장관은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는 한편,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시스템과 운영 시설에 대한 전수 점검을 실시하여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실시간 복구 현황을 공개하고 대체 서비스를 마련하는 등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