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의 드넓은 갯벌은 그동안 낚시를 즐기는 이들에게 불편한 땅으로 여겨져 왔다. 진흙으로 뒤덮여 발걸음을 옮기기 힘들었던 갯벌이 사실은 지구 온난화를 막는 강력한 탄소 저장고이자 생명의 보고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제 해양경찰청이 민·관 협력으로 선보인 해양환경 온라인 교육 플랫폼 ‘하이 블루카본’을 통해 이러한 갯벌의 숨겨진 가치가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해양경찰청이 지난 9월 2일 공개한 ‘하이 블루카본'(hibluecarbon.kr)은 갯벌에 대한 인식을 근본적으로 전환시키려는 노력을 담고 있다. 포스코이앤씨, 한국전력공사, 월드비전, 그리고 인천시, 광양시, 부안군 등 다양한 기관과 지자체가 힘을 합쳐 만든 이 플랫폼은 갯벌이 숲보다 50배 빠르게 탄소를 흡수하는 ‘블루카본’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사용자들은 이 플랫폼을 통해 갯벌이 단순한 진흙 바다가 아니라, 지구를 지키는 중요한 탄소 저장고임을 배우게 된다. 또한, 철새들에게 풍부한 먹이를 제공하는 ‘생명의 뷔페’로서의 역할도 상세히 설명하며 갯벌의 생태적 가치를 일깨운다.
플랫폼은 ‘디지털로 만나는 블루카본’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다채로운 콘텐츠를 제공한다. 스마트폰으로 QR 코드를 스캔하면 화면 속에 거대한 고래가 나타나는 증강현실(AR) 체험은 집에서도 생생하게 해양 환경을 접할 수 있도록 한다. ‘탐험대장 노을이’와 ‘꼬마 해홍이’와 같은 AI 캐릭터들은 음성과 텍스트를 통해 염생식물의 특징과 블루카본의 정의 및 중요성을 쉽고 재미있게 설명한다. 특히, 해양 생태계가 숲보다 50배 빠르게 탄소를 흡수하고 수백 년 동안 저장한다는 사실은 갯벌의 중요성에 대한 깊은 성찰을 이끌어낸다. 갯벌이 ‘철새의 먹이터’라는 점은 생물 다양성 보존과 기후 위기 대응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킨다. 우리나라 서해안 갯벌이 세계 5대 갯벌에 속한다는 자부심과 함께, 퉁퉁마디, 해홍나물과 같은 염생식물들이 짠 환경을 이겨내며 갯벌 생태계를 지탱하는 ‘숨은 영웅’임을 알게 된다.
‘하이 블루카본’은 단순한 교육 콘텐츠 제공을 넘어 참여형 경험을 강화한다. ‘배움자료 살펴보기’ 메뉴에서는 염생식물의 섬세한 아름다움을 담은 세밀화 엽서와 교사들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안 및 영상 자료를 제공한다. 무엇보다도 인상적인 것은 ‘나도 해양환경 보전에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직접 적어 남기는 환경 서약이다. 이러한 작은 실천들이 모여 해양환경 보전의 의미를 더한다. 비록 현재 온라인 체험 신청은 열리지 않았지만, 이러한 참여형 콘텐츠들은 국민들이 해양환경 보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일상 속 실천으로 이어지도록 돕는다.
이 플랫폼의 진정한 가치는 민·관 협력을 통해 정책을 현실로 만들고 있다는 점에 있다. 해양경찰청은 인천시, 광양시, 부안군과 협력하고 포스코이앤씨, 한국전력공사, 월드비전 등 민간 기업·단체와도 손잡고 염생식물 파종 및 군락지 조성과 같은 현장 복원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인천 소래습지, 부안 줄포만, 광양 섬진강 하구 갯벌 등 서해안 일대 약 2만 평 부지에서 15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칠면초, 퉁퉁마디 등 염생식물 100kg을 파종하는 등 블루카본 보호 캠페인을 전개했다. 이러한 현장 활동과 온라인 교육의 연계는 해양환경 보전을 구호가 아닌 실천 가능한 정책으로 자리매김하게 한다. ‘탄소중립’과 ‘기후 안정’이라는 공동 목표를 향해 민·관이 함께 나아가는 과정 자체가 ‘하이 블루카본’ 플랫폼의 핵심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결론적으로 ‘하이 블루카본’은 짧은 온라인 체험을 통해서도 바다와 갯벌이 지닌 거대한 힘을 깨닫게 한다. 국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서약, 교육 자료, 체험 프로그램은 일상 속 작은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 결국 해양환경 정책은 거창한 구호가 아니라, 우리의 생활과 습관에서 출발해야 한다. 해양은 탄소중립과 기후 안정을 위한 핵심 자원이기에, 그 가치를 지켜내기 위해서는 정책적 노력뿐만 아니라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관심과 참여가 절실하다. ‘하이 블루카본’은 바로 그러한 참여의 첫걸음을 디지털 공간에서부터 열어주는 중요한 모델로서 기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