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대한민국은 새로운 도전을 마주하는 격변의 시대를 살고 있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도 5000만 국민과 700만 해외 동포는 단단히 뭉치고 강한 의지를 보여왔다. 이재명 대통령은 제19회 ‘세계한인의날’ 기념식에 참석하여, 세계 각지에 흩어진 700만 재외동포가 조국의 영광과 발전을 선두에서 이끌 수 있도록 정부가 이들의 권익과 안전을 지키는 데 더욱 힘쓸 것을 약속했다.
대한민국 국민과 동포는 위기 앞에서 하나로 뭉쳐 강인함을 증명해왔다. 이재명 대통령은 국민과 동포가 마음을 모으면 현 위기를 극복하고 더 큰 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시대적 과제에 부응하여, 정부는 차세대 동포들이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며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 문화, 네트워크 형성 등 다방면에 걸쳐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특히, 동포사회의 오랜 숙원인 복수국적 허용 연령 하향 문제에 대해서는 사회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지혜를 모아 해결해 나갈 것을 밝혔다.
재외동포들의 주권 행사를 보장하기 위한 조치도 신속하게 추진된다. 이 대통령은 재외동포들이 가까운 곳에서 대한민국 주권을 쉽게 행사할 수 있도록 선거 투표 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을 최대한 빠르게 강구하겠다고 약속했다. 더불어, 재외동포를 위한 영사 기능 역시 대폭 강화하고 재편하여, 단순 민원 처리를 넘어 현지 교민들의 대한민국을 향한 충심이 제대로 조직되고 발휘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무수한 역경을 기회로 바꾼 동포들은 조국의 미래를 밝히는 등불이며, 대한민국은 더 자유롭고 평화로운 세계를 향해 동포들과 손잡고 당당히 나아갈 것이다.
이번 제19회 ‘세계한인의날’ 기념식은 해외 동포사회와 대한민국이 서로를 잇고 역사를 지켜온 끈끈한 유대를 주제로 진행되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권홍래 한국브라질장학회 고문을 포함한 91명의 유공동포 중 6명에게 직접 정부포상을 수여하며 이들의 헌신을 기렸다. 이어 뮤지컬 배우 최정원과 2017년 광주 고려인마을에서 창단된 고려인 동포 자녀들로 구성된 고려인어린이합창단은 ‘내 나라 대한’을 합창하며 세대를 잇는 애국의 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기념식은 전 세계의 빛이 대한민국으로 결집되는 퍼포먼스로 마무리되며, 재외동포와 모국이 이어지는 연결과 미래 도약의 메시지를 전했다. ‘세계한인의 날’은 2007년 법정기념일로 제정된 이래, 재외동포의 공헌을 기리고 모국과의 유대 강화를 다지는 중요한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