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발생한 화재로 인해 다수의 행정정보시스템이 마비되면서 국민들이 겪는 불편과 행정 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긴 추석 연휴를 앞두고 119안전신고와 같은 필수적인 공공 서비스의 중단은 국민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행정안전부는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 주재로 중대본회의를 열어 화재로 인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다각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화재로 인해 총 110개 시스템이 복구 대상에 올랐으며, 행정안전부는 조속한 복구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오전 6시 기준으로 110개 시스템이 복구되어 서비스를 재개했으며, 그중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 복구는 연휴를 앞두고 안전 및 재난 관리 측면에서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가의 역사와 기록을 담고 있는 국가기록포털 역시 재가동을 시작하여 정보 접근성을 회복했다. 윤호중 본부장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발생한 전산망 장애로 국민들에게 불편과 걱정을 끼친 점에 대해 송구하다는 뜻을 밝히며, 필수적인 행정서비스부터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복구에 최우선을 두고 있음을 강조했다.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한 정부의 노력은 다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의 전문 인력을 현장에 투입하는가 하면, 예비비까지 투입하여 복구 작업의 속도를 최대한 끌어올리고 있다. 또한, 시스템 중단으로 인한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제공하는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인해 불편을 겪는 국민들을 위해 과거에 사용했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 상담 서비스를 재개하는 조치도 취해졌다. 대통령실 AI 미래기획 수석의 현장 방문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전문 연구기관의 참여는 안정성과 재발 방지까지 고려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행안부는 복구된 시스템과 주요 서비스 현황을 네이버와 카카오를 통해 수시로 갱신하여 국민들이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윤호중 장관은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는 한편,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시스템과 운영 시설에 대한 전수 점검을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추석 연휴 기간 동안에도 행정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고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간 복구 현황을 공개하고 대체 서비스를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러한 적극적인 대응과 근본적인 시스템 개선 노력을 통해 행정정보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국민들의 불편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