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증하는 보이스피싱 범죄로 인해 은행권이 고객 자산 보호를 위한 이중 방어막을 구축하고 있다. 단순 이체 업무조차 까다로워진 절차는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며, 금융기관들은 강화된 문진 제도와 홍보 활동을 통해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은행을 방문한 시민들은 강화된 문진 제도 시행 안내문을 마주하며 달라진 은행 업무 절차에 당혹감을 느낀다. 특히 고액 인출이나 이체 거래 고객에게는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홍보 동영상 시청이 필수로 요구되며, 실제 발생한 최신 보이스피싱 사례도 상세히 안내된다. 은행 직원들은 이러한 절차가 지능화되고 피해 금액이 커지는 보이스피싱으로부터 고객의 소중한 자금을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임을 거듭 설명한다.
보이스피싱 예방 동영상은 ‘영화 같은 작전, 그 주인공은 당신일 수도!’라는 제목으로, 정부 기관 사칭 등 범죄 수법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영상은 가해자가 공범 또는 피해자임을 확인한다며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전형적인 수법을 다루며, 실제 자금 이체 상황과 유사할 경우 이체를 멈추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예방 활동은 일회성에 그치지 않는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는 보이스피싱 관련 동영상을 다시 시청할 수 있으며, 신종 금융사기 유형 안내, 사기 유형별 예방 방법, 피해 구제 방안 등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심지어 일부 은행은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전담 창구를 설치하며 그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다.
특히 추석 명절 이후에는 교통 범칙금, 명절 선물, 대출, 택배 등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금융기관들은 출처 불분명한 문자나 링크 클릭 금지를 재차 강조하며, 이상한 문자는 즉시 삭제하는 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보이스피싱 의심하Go, 주저 없이 전화 끊Go, 해당 기관에 확인하Go’라는 캠페인 메시지를 통해 의심 시 즉각적인 확인을 권고하고 있다.
실제로 2025년 상반기(1월~7월) 보이스피싱 및 문자 결제 사기 범죄 피해액은 7,99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두 배 증가했으며, 7월에는 월별 피해액 기준 역대 최대치인 1,345억 원을 기록하는 등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금융사기 통합 신고 대응센터(1566-1188)를 통해 발신 번호의 신고 이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112 신고를 통해서도 즉시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악성 앱 설치 시 경찰서를 방문하여 전용 제거 앱을 받을 수 있는 등 다각적인 대응 체계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9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보이스피싱 정책, 홍보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하며, 총상금 1,600만 원을 걸고 대국민 아이디어 제안을 받고 있다. 이는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및 구제 관련 신규 제도 제안, 현행 제도 개선 방안, 빅데이터·AI·FDS 활용 탐지 기법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다.
연휴가 끝난 후 부모님께 안부 전화를 드릴 때, 보이스피싱 예방법을 꼭 알려드리는 것이 중요하다. 보이스피싱 의심, 전화 끊기, 그리고 해당 기관 확인이라는 세 가지 원칙을 항상 기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