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9일(화) 서울 양재동 aT센터 제2전시장에서 ‘2025 중증장애인생산품 박람회—낯섦에서 일상으로’가 개최되었다. 이번 박람회는 중증장애인의 경제적 자립과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이라는 중대한 사회적 ‘문제’에 직면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행사장에는 공공기관 관계자, 시민, 그리고 생산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주제를 몸소 체험하며,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보호나 시혜의 대상이 아닌, 일상생활에서 당연히 소비되는 제품으로 인식되는 전환점을 만들었다.
박람회장 안에서는 다양한 체험 활동과 제품 전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며, 이는 앞서 제기된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솔루션’을 제시했다. 직업재활 체험 부스에서는 종이 쇼핑백 만들기, 꽃 만들기 등을 통해 생산 현장의 노동 강도와 세심함을 참가자들이 직접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체험에 참여한 박O광 씨(32)는 “쇼핑백 손잡이를 꿰매는 과정이 생각보다 어렵더라고요. 몇 번이나 실수했는데 옆에서 선생님이 손을 잡아주며 도와주셨습니다. 마지막 매듭을 완성했을 때 제 손으로 끝까지 해냈다는 성취감이 크게 다가왔습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는 중증장애인이 겪는 어려움 속에서도 동료의 도움과 섬세한 지도를 통해 성취감을 느끼고 자립 의지를 다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일상으로’라는 문구가 새겨진 쇼핑백은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소비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분명히 전달했다.
전시장 안쪽에서는 ‘래그랜느 쿠키’, ‘쌤물자리’, 구립강서구직업재활센터의 제설제 및 세정제 등 다채로운 제품들이 관람객을 맞았다. 이들 제품은 ‘맛·품질·가격’ 면에서 경쟁력을 증명하며, ‘장애인 생산품=소품’이라는 오래된 고정관념을 타파했다. 특히 HACCP 인증 문구와 합리적인 가격대는 제품의 신뢰도를 높였고, 생산자들은 제값을 받을 수 있다는 당당함을 보였다. 이는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단순한 동정이 아닌, 실질적인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에서 인정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무대 위에서는 우선구매 유공자 포상이 진행되었으며, 스마트 모바일 솔루션 협약식과 한국교직원공제회, 한국장애인개발원, 전국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협의회의 협약식이 이어졌다. 이러한 포상과 협약은 어제의 성과를 기리는 동시에 내일의 판로를 약속하고 공급망을 확장하는 중요한 ‘솔루션’이었다. 통로에서는 공공 조달 담당자와 생산 시설 종사자들이 납품 조건, 단가, 납기 등을 논의하는 모습이 포착되었는데, 이는 안정적인 수요와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박람회의 심장을 뛰게 하는 목표를 구체화하는 과정이었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경쟁 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의 일자리 창출과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핵심 정책이다. 공공기관은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지방공기업 등 대통령령과 관련 법률에 따라 정해진 공공기관에서 해당 생산 시설의 제품과 서비스를 연간 총구매액의 일정 비율 이상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한다. 이러한 제도는 단순한 상업적 거래를 넘어 장애인의 자립을 돕고 사회적 신뢰를 쌓아가는 실질적 기반을 조성하는 ‘솔루션’이다. 이번 박람회에서 만난 손끝의 성실함, 무대 위의 약속, 통로에서 오간 대화는 ‘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주제를 구호가 아닌 현실로 바꾸어냈다. 쿠키 한 봉지, 누룽지 한 팩, 쇼핑백 하나가 누군가의 내일 출근을 가능하게 한다는 진실은 중증장애인 생산품 시장의 ‘문제’가 성공적으로 해소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