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반복되는 농업 현장의 어려움 속에서, 농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미래 먹거리 확보라는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 개최된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는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탄생했으며, 농업이 직면한 도전 과제를 극복하고 혁신적인 미래를 그려나가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주목받았다.
이번 박람회는 ‘농업과 삶’, ‘농업의 혁신’, ‘색깔 있는 농업’, ‘활기찬 농촌’이라는 네 가지 주제관을 통해 농업의 다층적인 가치와 미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농업과 삶’ 주제관에서는 국민의 삶과 역사에 깊이 뿌리내린 농업의 중요성을 되새기며, 올해의 농산물인 감자의 놀라운 변신을 조명했다. ‘서홍’, ‘골든에그’와 같은 다양한 품종뿐만 아니라 감자로 만든 수제 맥주와 화장품까지, 감자의 무궁무진한 활용 가능성을 선보이며 참석자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특히, 올바른 감자 보관법과 같은 실용적인 정보는 물론, 농업인의 소득 안정을 위한 공익 직불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축산물 통합정보 조회 시스템과 꿀 등급제는 소비자가 안심하고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으로, 농산물 품질 관리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우리 쌀의 다양한 품종별 특징을 소개하고 각 쌀에 어울리는 요리를 제안하는 코너는, 일상적인 먹거리인 쌀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며 그 가치를 재조명하는 역할을 했다.
‘농업의 혁신’ 주제관에서는 첨단 기술이 농업과 결합하여 만들어갈 미래를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인공지능(AI) 기반의 선별 로봇은 단 0.1초 만에 상처 난 과일을 골라내는 놀라운 속도를 자랑하며, 사람이 17개의 불량 과일을 선별하는 동안 AI 로봇은 43개를 처리하는 압도적인 효율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셰프의 손맛을 재현하는 조리 로봇은 미래 외식 산업의 변화를 예고했다. 특히, ‘품종 개발을 위한 과실 특성 조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은 참가자들이 직접 과일의 당도를 측정하며 농업 기술의 발전 과정을 체감하게 했다. ‘그린시스’라는 품종의 배를 대상으로 진행된 실험은, 과일의 길이, 무게, 품종명 등 외관 특성을 조사하고 과즙을 추출하여 당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통해 농산물 품질 관리의 과학적인 접근 방식을 이해시키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혁신적인 기술들은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품질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색깔 있는 농업’ 주제관은 K-푸드를 비롯해 도시농업, 화훼 등 다채로운 농업의 매력을 선보이며 해외 친구에게도 소개하고 싶은 공간으로 꾸며졌다. 캔에 담긴 홍어와 같은 기발한 아이디어는 농업 분야의 창의적인 발상을 보여주었고, 전통주와 K-미식 벨트 소개는 우리 농산물의 문화적 가치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 마지막으로 ‘활기찬 농촌’ 주제관은 농촌 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과 아이디어들을 제시하며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특히, ‘농촌 빈집은행’ 정책은 농어촌의 방치된 빈집을 재탄생시키고 귀농·귀촌 희망자들과 연결하는 혁신적인 방안으로, 노후화된 빈집의 수리비를 지원하는 등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한다. 이 정책은 낯선 지역의 빈집을 찾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귀농·귀촌 희망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며, 농촌을 ‘떠나는 곳’이 아닌 ‘돌아오는 곳’으로 변화시키는 중요한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는 단순히 농산물을 전시하는 것을 넘어, 농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미래 농업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장이었다. 친환경 농산물 인증 마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스마트 농업의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각 지역의 특성을 살린 산업화 전략을 통해 지역 소멸 위기에 대한 희망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또한, 꿀 등급제와 같이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는 정책은 K-농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결국,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먹거리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K-농업의 확실한 성장 동력이 될 것이며, 이번 박람회는 농업이 기술, 문화, 사람을 아우르며 끊임없이 혁신하는 역동적인 현재와 미래를 명확히 보여주었다. 국민들의 작은 관심들이 모여 대한민국 농업의 강력한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안겨주며 박람회는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