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기간 동안 흔히 발생하는 음식 남김 문제는 주부들에게 큰 고민거리다. 특히 갈비찜, 잡채, 전 등은 명절을 대표하는 음식이지만, 풍족하게 준비하다 보면 필연적으로 남기게 된다. 단순히 데워 먹는 것을 넘어, 이러한 남은 명절 음식을 활용해 새로운 별미를 창조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어 주목받고 있다. 이는 풍성했던 명절의 여운을 좀 더 다채롭게 즐길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 감소라는 실질적인 이점까지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박찬일 셰프는 이러한 명절 음식 적체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두 가지 독창적인 레시피를 제안한다. 첫 번째는 ‘갈비찜 잡채볶음밥’이다. 명절의 상징과도 같은 갈비찜과 잡채를 활용하는 이 레시피는, 남은 갈비찜의 양념과 뼈를 발라낸 살점을 이용한다. 여기에 잡채와 밥을 함께 볶아내는데, 특별히 식용유를 사용하지 않고도 재료 자체의 기름으로 풍미를 더하는 것이 특징이다. 고추장 반 큰술을 더해 감칠맛과 약간의 매콤함을 더하거나, 신김치를 다져 넣어 다채로운 맛을 낼 수도 있다. 이 볶음밥은 단순한 재활용을 넘어, 갈비찜의 깊은 맛과 잡채의 식감이 어우러진 새로운 요리로 탄생한다.
두 번째로 제안되는 요리는 ‘전 두루치기’다. 명절에 빠지지 않는 음식인 전, 특히 두부전 등이 남았을 경우 이를 활용하여 국물 요리로 재탄생시킬 수 있다. 잘 익은 김치, 파, 고춧가루, 다진 마늘, 캔 참치, 그리고 치킨스톡을 주재료로 하여 냄비에 볶아내듯 끓여내는 방식이다. 여기에 남은 전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넣고 함께 끓이면, 전의 기름기가 우러나와 깊고 진한 국물 맛을 완성한다. 이 두루치기는 즉석 요리 느낌이 강하며, 국물이 자작하게 졸아드는 ‘짜글이’ 스타일로 만들어 먹으면 더욱 풍성한 맛을 즐길 수 있다.
이처럼 박찬일 셰프가 제시하는 ‘갈비찜 잡채볶음밥’과 ‘전 두루치기’는 남은 명절 음식을 버리지 않고 새롭게 활용할 수 있는 practical한 솔루션이다. 이는 명절 후 발생할 수 있는 음식물 낭비를 줄이는 동시에, 가족들에게는 색다른 별미를 선사하며 식탁의 풍요로움을 더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귀한 명절 음식들을 끝까지 맛있게 즐길 수 있도록 돕는 이번 제안은 실용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좋은 사례로 평가받을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