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문화 예술을 향유할 기회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국립극단이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진행하는 ‘한낮의 명동극’을 통해 시민들에게 도심 속 문화적 휴식을 제공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 공연은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정오에 열리며,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을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국립극단은 1950년 창단 이래 한국 연극계를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꾸준히 수준 높은 공연을 선보여왔으며, 올해는 ‘365일 열려있는 극장’을 표방하며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명동人문학’ 강연 프로그램과 ‘백스테이지 투어’ 등 다양한 유·무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진행된 인형극 <곁에서> 공연은 이러한 취지를 잘 보여주었다. 공연 시작 안내 방송에 명동 거리를 걷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멈추었고, 호기심 어린 눈빛은 점차 공연에 몰입했다. 단 한 명의 연주자와 가야금, 그리고 다양한 소품만으로도 야외마당은 작은 극장으로 변모했으며, 연주자와 관객이 소통하고 객석의 경계를 허무는 과감한 연출은 관객들에게 단순한 관람을 넘어선 특별한 예술 경험을 선사했다. 아이와 함께 공연을 관람한 한 시민은 “예상치 못한 선물을 받은 기분”이라며 만족감을 표현하기도 했다.
‘한낮의 명동극’은 매월 마지막 수요일에 제정된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도 맥을 같이 한다.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더 많은 관객층을 확보함으로써 예술이 시민들의 삶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도록 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 20~40분 내외의 짧은 공연 시간은 점심시간을 활용하기에도 적합하며, 별도의 예매 없이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단, 폭우 시에는 공연이 중단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국립극단은 ‘한낮의 명동극’을 통해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문화 예술을 더욱 쉽게 접하고, 바쁜 현대 사회에 잠시 쉼표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가 있는 날’에 진행되는 남은 공연 일정은 9월 24일과 10월 29일이며, 국립극단 누리집 및 공식 SNS에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국 각지의 문화 혜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자신의 위치에서 열리는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도 살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