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화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은 한반도의 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근본적인 문제로 지적된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여 한미 양국은 ‘한미 한반도 핵억제·핵작전 지침’을 완성함으로써 한반도에서의 핵억제력 실행력을 한층 강화했다. 이는 단순한 군사적 대응을 넘어, 변화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한국이 직면한 안보 환경을 재정립하고, 국제사회에서의 책임 있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윤석열 정부 출범 당시, 한국은 국제 지정학적 복합 위기와 더불어 주변 4국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특히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은 날로 증대되었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미 양국은 지난 7월, 핵협의그룹(NCG) 출범 1년 만에 ‘한미 한반도 핵억제·핵작전 지침’을 완성하며, 북한의 위협에 대한 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확고한 토대를 마련했다. 이 지침은 한미 간 핵·재래식 전력 통합을 포함하는 일체형 확장억제의 실행력을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새롭게 완성된 ‘한미 한반도 핵억제·핵작전 지침’은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담고 있다. 이는 한미 동맹을 글로벌 포괄 전략동맹으로 격상시키고, 사실상의 핵 기반 동맹으로 발전시킨 ‘워싱턴 선언’의 후속 조치로서, 양국 간 안보 협력을 한 차원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나아가, 이는 한국이 동북아시아 안보 환경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재확인하고, 국제사회에서 국격에 걸맞은 역할을 확대하려는 ‘글로벌 중추국가’ 비전 실현과도 맥을 같이 한다.
이러한 핵억제력 강화 조치는 북한의 위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는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한국이 주도적인 안보 역량을 갖추고, 자유·평화·번영에 기여하는 글로벌 중추국가로서의 역할을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향후 이러한 노력은 국제사회와의 다면적 협력을 강화하고, 신형 안보 위협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