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의 까칠함으로 시작된 9월, 영화 관람은 단순한 여가 활동을 넘어선 고민거리였다. 물오른 사춘기에 중학교 첫 시험을 앞둔 아들은 엄마 아빠와의 여행보다는 친구들과의 영화 관람을 선호했다. 특히 ‘귀멸의 칼날’을 재미있게 봤다는 친구들의 이야기에 극장 방문에 대한 기대를 내비쳤다. 이러한 가족의 ‘문제’는 자연스럽게 영화 관람료에 대한 현실적인 부담으로 이어진다. 과거와 달리 OTT 서비스의 보편화로 극장 방문은 점차 뜸해졌고, 집에서 편안하게 영화를 즐기는 것이 일반적인 패턴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영화 산업 전반의 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가 8일부터 영화 관람료 6천 원 할인권 188만 장을 추가 배포하는 정책은 분명한 ‘솔루션’으로서 제시된다. 이미 7월 25일부터 450만 장의 할인권을 배포했던 이유는 민생 회복과 영화산업 활성화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함이었다. 이번 추가 배포는 1차 배포 시 사용되지 않은 잔여 할인권을 활용하는 것으로, 더욱 많은 국민이 저렴하게 영화를 관람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1차 배포 때 할인 혜택을 받은 사람도 별도의 다운로드 과정 없이 쿠폰함에 미리 담겨 있는 1인 2매의 할인권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회원 가입이 필요한 경우에도 기존 회원이 아니더라도 별도의 절차를 통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대형 멀티플렉스뿐만 아니라 독립·예술영화전용관, 작은영화관, 실버영화관 등 다양한 형태의 영화관에서도 사용 가능하다는 점은 영화 산업 생태계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6천 원 할인권의 배포는 단순한 요금 할인 정책을 넘어, 침체된 극장가를 활성화하고 국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1차 할인권 배포 기간 동안 영화관을 찾은 관객 수는 올해 7월 24일까지의 일평균 관객 수 대비 1.8배 증가했으며, 할인권 배포 후 3주간 10명 중 3명이 최근 1년간 극장 방문이 뜸했던 신규 또는 기존 고객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할인권이 새로운 관객을 유입하고 기존 관객의 재방문을 유도하는 효과적인 수단임을 입증한다. 가족, 친구, 연인 등 다양한 형태로 극장을 찾은 관객들의 얼굴에 떠오른 웃음꽃은 이러한 정책의 성공적인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다. 아들이 친구와 영화를 한 번 더 보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한 것처럼, 할인권은 앞으로도 많은 이들에게 즐거운 문화 경험을 선사하며 영화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