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산업 현장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AI 도입이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 잡고 있다. 제조업을 비롯한 산업 전반에서 AI를 활용한 부가가치 창출과 국가 및 기업 경쟁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해진 상황이다. 하지만 현재 산업계는 보유한 역량에 비해 AI 도입 및 활용률이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이는 곧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급격한 기술 발전과 변화 속에서 산업계의 AI 역량 부족은 성장을 저해하는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러한 산업계의 AI 전환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가 손을 잡았다. 세 부처는 15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산업 전반의 AX(AI 전환)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제조·산업 전반의 AI 대전환 협력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은 각 부처의 전문성과 역량을 융합하고 정책 간 연계성을 강화하여 산업 전반의 성공적인 AI 전환 확산을 지원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주요 업무 협력 내용은 ▲산업 전반의 AI 역량 강화 및 핵심 기술 내재화 ▲AI 벤처·스타트업과 중소·소상공인의 AI 기술 사업화 및 현장 맞춤형 AI 기술 개발 지원 ▲지역 핵심 산업군 중심의 AI 생태계 조성 지원 ▲AI 관련 국정과제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한 적극 지원 등이다. 이를 통해 세 부처는 AI 핵심 기반 기술 확보부터 산업 적용,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확산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 걸친 통합 지원 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또한, 부처 산학연 전문가 간 기술 교류회를 추진하여 지역과 현장,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성과 창출에도 힘쓸 예정이다.
이번 협력을 통해 산업 전반의 AI 전환 속도가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과 기업 규모에 관계없이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면, 인구 감소와 생산성 정체, 기술 추격 등 우리 산업이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국가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다. 특히, AI 기술 활용이 생존과 직결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에게는 AI 벤처·스타트업과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미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AI 대전환은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국가 생존 전략으로서, 세 부처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제조 DNA와 AI 기술의 성공적인 융합이 이루어질 때 우리 경제의 새로운 번영을 기대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