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인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여름, 사람들은 더위를 쫓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빙수는 단순한 디저트를 넘어, 시원함을 제공하는 매개체이자 과거와 현재를 잇는 문화적 상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인천 중구 영종하늘도시 신축공사 현장에서는 근로자들의 노고를 치하하기 위해 팥빙수 차를 마련하는 모습이 포착되어, 폭염 속 얼음의 역할을 다시 한번 상기시킨다.
과거, 여름은 방송사들에게 ‘납량특집’이라는 특별한 프로그램을 선보일 시기였다. <전설의 고향>과 같은 프로그램은 한 맺힌 귀신 이야기가 주는 오싹함으로 시청자들에게 시원함을 선사했다. ‘납량(納涼)’이라는 단어 자체가 시원함을 받아들인다는 의미를 내포하듯, 이러한 방송들이 여름의 더위를 식혀주는 역할을 했다면, 음식으로서 빙수는 이러한 ‘납량’의 몫을 톡톡히 해냈다. 1970년대, 학교 앞 분식집이나 만화가게에서는 에펠탑 모양의 수동 빙수 기계로 만든 십 원짜리 빙수를 팔았다. 돈이 없어 침만 흘리며 바라보던, 기계에서 깎여 나오는 얼음 알갱이를 보는 것만으로도 더위를 잊을 수 있었던 시절이었다. 손잡이를 돌려 얼음을 깎고, 색소를 뿌려주던 그 광경은 생생한 기억으로 남아있다.
시간이 흘러 1990년대에는 ‘눈꽃 빙수’라는 새로운 형태가 등장하며 빙수는 단순한 여름 한정 메뉴를 넘어 사계절 별미로 발전했다. 빙수 전문 카페와 호텔에서는 경쟁적으로 고급화된 빙수를 선보이며 ‘빙수 왕국’을 이루었다. 하지만 진정한 빙수의 중심지는 단연 부산이다. 광복동, 용호동에는 빙수 거리가 조성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빙수를 즐긴다. 부산에서 빙수가 특별한 이유는 무엇일까. 한결같이 생선을 얼려 보관하기 위한 얼음이 필요했고, 이는 자연스럽게 빙수 문화로 이어졌다. 또한, 더운 날씨에 갈증을 해소해 줄 빙수에 대한 수요가 높았을 것이다. 부산의 빙수는 화려한 고명보다는 푸짐하게 얹어진 팥이 특징이다.
박찬일 셰프는 이러한 부산식 ‘할매 빙수’에 대한 애정을 드러낸다. 너무 달지 않은 팥과 푸짐한 양은 단순히 간식이나 디저트를 넘어 한 끼 식사처럼 든든함을 선사한다. 이는 마치 할머니의 정을 느끼게 하는 소박하고 투박한 매력이다. 이러한 부산식 빙수는 얇게 깎아 사르르 녹는 ‘눈꽃 빙수’의 오리지널이라는 평가 속에서도 여전히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빙수에 얽힌 옛 이야기 역시 흥미롭다. 미국에 거주하는 친구의 이야기는 조선시대 얼음 창고였던 서빙고, 동빙고의 존재와 겨울철 한강에서 얼음 부역을 하던 선조들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당시 얼음은 궁궐의 냉장고 역할을 하며 귀한 식재료를 보존하는 데 사용되었고, 서민들은 여름에 얼음을 보는 것 자체가 상상하기 어려운 호사였다. 이처럼 얼음의 귀함을 이야기하는 옛 경험을 통해 우리는 빙수라는 음식이 단순한 시원함 이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름이 저물기 전, 최고의 얼음 음식인 팥빙수를 맛보기 위해 부산으로 향하는 발걸음이 분주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