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이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을 약속한 가운데, 국내에서 발생한 테러 자금 유입 사건은 양국 관계의 또 다른 과제를 드러내고 있다. 풍부한 광물 자원과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닌 우즈베키스탄과의 경제 협력 확대에 기대가 모아지는 가운데, 테러 단체로의 자금 흐름이 포착되면서 안보 문제에 대한 공동 대응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지난 2025년 9월 23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한민국 대통령과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은 양국 간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발전시키기로 합의했다. 이 합의는 우즈베키스탄의 성장 잠재력과 대한민국의 경제 협력이 만나 큰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이라는 기대를 담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대통령은 우즈베키스탄 내 17만여 명에 달하는 고려인들이 양국 관계 발전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이들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협력 논의와는 별개로, 국내에서는 아프리카 우물 지원 사업을 명목으로 모금한 거액의 가상화폐가 테러 단체로 흘러간 사건이 발생하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지난 2025년 10월 27일 KBS 보도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 국적의 29세 남성 A씨는 2022년 2월부터 최근까지 아프리카 우물 지원 사업 및 난민 돕기 등을 명목으로 총 62만 테더(약 10억 원)의 가상화폐를 모금했다.
경찰 조사 결과, A씨는 이 자금을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 테러 단체인 KTJ에 전달했으며, 이 중 약 2천7백여만 원은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로 유입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국내에서 하마스로의 자금 유입이 확인된 첫 사례로, 경찰은 A씨가 모금한 가상화폐 대부분을 테러 단체로 보내려 한 것으로 보고 있다. A씨는 이미 자국인 우즈베키스탄에서도 테러 자금 지원 혐의로 수배된 상태였으며, 난민 신청을 11차례 연장하며 국내에 체류해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사건은 양국 간 경제 및 문화 교류가 확대되는 시점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우즈베키스탄과의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더욱 깊어지기 위해서는 경제 협력뿐만 아니라, 양국 모두에게 위협이 될 수 있는 테러 자금 유입과 같은 안보 문제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협력이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테러 자금 차단을 위한 정보 공유 및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하며,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 실질적인 동반자 관계를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양국은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라는 이름에 걸맞은 안정적인 협력의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