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릉과 궁궐을 연계한 여행 프로그램 「2025년 하반기 왕릉팔경」이 운영된다. 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조선왕릉에 담긴 깊은 역사적 의미와 변화를 체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올해 하반기에는 대한제국 황실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탐방이 이루어져, 조선과 대한제국의 왕릉 문화를 비교하며 근대 전환기의 역사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하지만 이러한 귀중한 문화유산을 직접 체험하고 배우는 기회는 참가 인원 제한으로 인해 높은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
이번 「왕릉팔경」 프로그램은 구리 동구릉에서 시작하여 남양주 홍릉과 유릉으로 이어지는 여정을 포함한다. 동구릉은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을 비롯하여 총 아홉 기의 왕릉이 모여 있는 조선 최대 규모의 능역으로, 1408년 건원릉 조성 이후 조선 전기부터 후기까지 다양한 시대의 왕릉이 자리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해설사의 안내를 통해 능역의 구조, 제향의 의미, 그리고 능묘에 담긴 정치적 배경을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다. 특히, 표석이 세워지기 시작한 역사적 배경과 송시열의 상소가 이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에 대한 설명은 조선 왕릉 제도의 변화를 명확히 보여준다. 송시열은 후손들이 왕릉을 구분하지 못할 것을 우려하여 표석 설치를 주장했고, 이는 효종의 영릉을 시작으로 왕릉 제도에 정착되었다. 표석의 전서체 또한 송시열의 주장으로, 왕의 위엄을 일반인과 구분하기 위한 예제로서 도입되었다.
동구릉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은 봉분을 뒤덮은 억새로 유명하다. 이는 태조가 생전에 고향의 억새를 무덤에 심어달라는 유훈을 남겼고, 그의 아들 태종이 이를 따른 데서 비롯된 전통이다. 600년 넘게 이어져 온 이 억새 전통은 태조의 고향에 대한 애정과 후손들의 계승 의지를 상징한다. 건원릉의 표석에는 ‘대한 태조 고황제 건원릉’이라 새겨져 있어, 태조의 위상이 황제로 격상되었음을 보여주며 왕릉 제도의 변화를 또렷하게 드러낸다. 또한, 봉분 주위의 병풍석, 난간석, 호랑이와 양 석상, 망주석, 곡장 등은 왕릉의 기본적인 구조를 이루며, 정자각에서의 제향 공간은 산 자와 죽은 자가 만나는 성스러운 곳으로 기능한다.
이번 프로그램의 또 다른 핵심인 순종황제 능행길에서는 대한제국 황실 유적을 중심으로 한 탐방이 이루어진다. 대한제국의 제2대 황제이자 조선의 마지막 황제였던 순종의 삶은 비극적인 시대의 아픔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1908년 순종이 반포한 「향사리정에 관한 건」 칙령은 제사 횟수를 연 2회로 축소하며 제사 제도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왕릉 제사가 단순한 의례를 넘어 시대적 변화와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임을 보여준다.
특히, 홍릉과 유릉은 기존 조선 왕릉의 형식을 벗어나 대한제국 황릉의 양식을 따르고 있다. 1897년 고종의 대한제국 선포 이후 체제 전환에 따라 능의 조영 방식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석물의 배치, 봉분의 규모, 향어로 장식 등은 황제의 권위를 강조했지만, 그 화려함 속에는 주권을 잃은 민족의 아픔이 깃들어 있다. 홍릉의 비각 표석 논쟁은 대한제국과 일본 간의 갈등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이며, 삼연릉과 같이 세 기의 봉분이 나란히 배치된 유일한 합장 형식의 능은 왕과 왕비의 위계, 그리고 비석이 여러 차례 다시 새겨진 흔적을 통해 당시의 사회적, 경제적 상황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왕릉팔경」 프로그램은 단순히 과거의 유적을 살펴보는 것을 넘어,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역사의 굴곡과 변화를 깊이 이해하게 한다. 참가자들이 미래 세대가 역사를 어떻게 기억하고 이어갈 것인가에 대한 성찰을 하게 만드는 이 여정은,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왕릉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그 속에 담긴 역사의 의미를 되새기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