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이 정책 정보 접근의 어려움을 겪고, 정책 결정 과정에서 소외감을 느끼는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청년들의 정책 참여를 확대하고, 정책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청년 공동체 활성화를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이는 청년들이 직면한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 사회의 당당한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우선, 청년들의 정책 참여를 늘리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주요 의제 토론’을 위한 청년과의 국정대화가 강화될 예정이며, ‘청년 아이디어를 정책으로’ 연결하기 위해 청년정책조정위원회 6개 분과에 전문위원회가 설치된다. 또한, 정부 위원회에는 청년위원을 10% 이상 위촉하여 실질적인 정책 수립 과정에 청년들의 목소리를 반영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청년들이 정책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접할 수 있도록 ‘청년 정책 잘 알리기’에도 힘쓸 방침이다. 맞춤형 정책 추천 기능 도입 등을 통해 청년정책 플랫폼인 ‘온통청년’이 개선된다. 지역에서는 ‘청년지원센터’가 지역 허브로서의 역할을 강화하여 청년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지원을 연계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청년들의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하고 소속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청년 공동체 활발하게’ 만들기 프로젝트도 추진된다. 청년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지원하고, ‘지역 살아보기’와 같은 청년마을 사업을 전국적으로 확산시켜 청년들이 지역사회에 뿌리내리고 활발하게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것이다.
정부의 이러한 정책들은 청년들이 겪는 정책 정보 격차 해소, 정책 결정 과정 참여 확대, 그리고 사회적 연결망 강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을 실질적으로 완화하고, 스스로 미래를 만들어나가는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