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세종대왕 한글 창제의 역사적 의미는 널리 알려져 있으나, 정작 그 안에 담긴 과학적 원리와 타자기와의 연관성은 일반 대중에게는 다소 생소하게 다가올 수 있다. 이는 한글의 우수성과 과학성에 대한 이해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며, 우리 문자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어렵게 만드는 문제로 지적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는 한글의 과학적 원리를 대중에게 보다 쉽게 전달하고, 이를 통해 우리 문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APCTP는 ‘APCTP 올해의 과학도서 저자 강연’의 일환으로 9·10번째 강연을 경북과학축전과 함께 양일간 개최한다. 이 강연은 특히 한글과 타자기의 연결점을 조명하며, 한글이 어떻게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원리에 기반하여 창제되었는지를 상세히 설명할 예정이다. 오는 10월 18일(토) 오후 1시, 안동체육관 사이언스 강연장에서 열리는 9회차 강연에서는 ‘한글과 타자기’를 주제로, 한글이 지닌 놀라운 과학적 설계와 이것이 근대적 문자 생산 방식인 타자기와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었는지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이 이루어진다.
이번 강연을 통해 한글 창제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과학적 사고를 재조명함으로써, 참석자들은 우리 문자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한글의 과학적 우수성을 타자기와의 비교를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한글이 단순히 아름다운 문자를 넘어선 혁신적인 과학 기술의 산물임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이는 우리 문자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하고, 과학적 사고방식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