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여권지수가 발간된 지 20년이라는 오랜 역사 속에서 미국 여권의 위상이 심상치 않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한때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여권으로 불리며 2014년에는 부동의 1위를 차지했던 미국 여권이 이제는 세계 상위 10위권 밖으로 밀려나는 초유의 사태를 맞이했다. 이는 외교 정책 및 국제 관계에 있어 미국의 영향력이 과거와 같지 않음을 시사하는 지표로 해석될 수 있다.
이번 헨리 여권지수 발표에서 미국 여권은 말레이시아와 함께 공동 12위라는 순위에 머물렀다. 이는 전 세계 227개 목적지 중 단순히 방문 가능한 국가의 수만으로 평가되는 여권 지수의 특성상, 미국의 외교적 위상 약화와 국제 사회 내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과거 미국 여권은 무비자 또는 도착 비자만으로 방문 가능한 국가 수가 압도적으로 많아 독보적인 1위를 기록했었다. 하지만 이제는 그 위상이 예전 같지 않으며, 이는 단순히 행정적인 변화를 넘어 국제 질서 재편이라는 더 큰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번 결과는 미국이 직면한 지정학적 도전과 외교적 관계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과거 미국 주도의 국제 질서가 흔들리고 새로운 세력들이 부상하면서, 국가 간의 관계 역시 재정립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여권의 힘이라는 상징적인 지표를 통해 그 단면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미국 여권의 순위 하락은 앞으로 미국이 국제 사회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할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이제 미국은 변화하는 국제 환경 속에서 자국의 외교적 영향력을 회복하고 여권의 위상을 재정립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단순히 방문 가능한 국가 수를 늘리는 것을 넘어, 실질적인 외교적 관계 강화와 국제 사회에서의 리더십 회복을 통해 미국 여권의 위상을 다시 한번 끌어올릴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러한 노력들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미국은 다시 한번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여권을 가진 국가로서의 위상을 되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