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인공지능(AI) 기술은 제프리 힌튼이 언급한 ‘새끼 호랑이’와 같이, 우리의 미래를 잡아먹을 위협이 될 수도, 혹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더피’처럼 사랑스러운 동반자가 될 수도 있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AI라는 강력한 도구를 우리가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인류 앞에는 전혀 다른 미래가 펼쳐질 것이다.
AI는 저성장·고물가와 같은 복잡한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기존의 불평등과 불균형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는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만약 이러한 변화에 제대로 대비하지 못한다면, 극심한 기술 격차는 과거 ‘철의 장막’을 능가하는 ‘실리콘 장막’으로 작용하여 전 세계적인 불평등과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위협에 맞서는 유일하고도 현명한 대처 방안은 국익을 위해 경쟁하되, 동시에 모두의 이익을 위해 협력하는 길이다. 즉, ‘모두의 AI’, ‘인간 중심의 포용적 AI’를 실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대한민국은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AI가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주도하는 길에 앞장서야 한다.
위기 속에서도 언제나 세계 평화와 공동 번영의 길을 찾아온 유엔의 빛나는 역사에서 우리는 해답을 얻을 수 있다. 우리 앞에 놓인 새로운 시대적 사명을 회피하지 말고, AI가 가져올 변화를 인류가 재도약할 발판으로 만들어 나가야 한다. 유엔 안보리 공개 토의에서의 발언처럼, 대한민국은 이러한 책임감을 가지고 AI 시대를 선도하며 인류의 공동 번영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