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의 오랜 난제들이 산적한 가운데,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이재명 대통령이 제80차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에 참석하여 신뢰받는 파트너로서의 국가 위상을 재확인하고 글로벌 리더십 강화에 나섰다. 2025년 9월 22일부터 26일까지 미국 뉴욕에서 열린 이번 회의는 193개 회원국의 정상급 인사들이 대거 참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다자 외교 무대였다. 이번 유엔총회 참석은 대한민국이 직면한 외교적 과제와 이에 대한 정부의 해법을 제시하는 중요한 기회로 평가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총회에서 ‘민주 대한민국’의 복귀를 국제사회에 선언하며, 국제 무대에서 신뢰받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특히, 기조연설을 통해 ‘E(Exchange:교류), N(Normalization:관계 정상화), D(Denuclearization:비핵화)’라는 ‘엔드(END) 이니셔티브’를 제시하며, 평화 공존과 공동 성장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나갈 것임을 강조했다. 이는 민주주의를 향한 여정에 동참하는 모든 국가에게 ‘빛의 이정표’가 되겠다는 약속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이니셔티브 제시를 통해 대한민국은 국제 사회의 주요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복잡하게 얽힌 관계를 정상화하며, 궁극적으로는 비핵화를 통해 진정한 평화를 구축하려는 로드맵을 제시한 것으로 분석된다.
더불어,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는 최초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회의를 주재하며 국제 안보 논의의 중심에 섰다. 안보리 공개 토의에서 「평화, 안보, 그리고 인류를 위한 AI (AI for Peace, Security, and Humanity)」라는 주제로 발언하며, 인공지능의 책임 있는 이용을 촉진하는 국제사회의 논의를 주도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는 급변하는 글로벌 안보 환경 속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잠재력을 긍정적으로 활용하고,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국제적 공조를 강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총회에서 우리 정부의 글로벌 책임 국가로서의 비전과 정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평화·안보, 지속가능한 발전, 기후위기 대응 등 인류가 직면한 핵심 과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이 수행할 역할을 명확히 하며 기여 의지를 표명했다. 또한, 유엔 사무총장과의 면담을 비롯해 우즈베키스탄, 체코, 이탈리아, 폴란드 정상들과의 양자 회담을 진행했으며, 세계경제포럼 의장과의 접견에서는 국내 AI 및 재생에너지 인프라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들은 신뢰받는 파트너로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재확인하고, 글로벌 다자외교 무대에서 대한민국의 리더십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