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의 문턱에 접어들며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듯, 분단의 현실을 생생하게 마주할 수 있는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통일 문제의 의미를 되새기게 된다. 굽이진 길을 올라 철조망과 경비초소를 지나 만나는 이곳은, 찌는 듯한 무더위가 가시고 방문하기 좋은 계절이 시작되었음을 알린다. 푸르른 하늘 아래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에서 북한 땅을 바라보는 경험은, 단순한 나들이를 넘어선 ‘안보 견학’으로서 어린 자녀를 둔 가족에게도 깊은 울림을 준다. 망원경 너머로 보이는 북한 개성의 일상은 분단의 아픈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며, 통일이 더 이상 나와 무관한 먼 이야기가 아님을 실감케 한다.
오두산 통일전망대의 1층과 2층 전시장에서는 분단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현재를 짚으며 미래를 제시하는 다양한 전시가 마련되어 있다. 특히 1년에 2~3차례 진행되는 특별기획전시는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이날 방문한 전시 중 ‘그리운 내 고향’이라는 공간은 실향민들이 그린 5,000여 점의 작품을 통해 북한 땅에 대한 그리움과 섬세한 묘사를 담아내며 깊은 감동을 자아냈다. 2층에서 3층으로 올라가는 길에 만나는 ‘통일의 피아노’는 2015년 광복 70주년을 기념하여 분단의 상징인 DMZ 철조망을 활용해 제작된 의미 깊은 작품이다. 전시실 곳곳에는 분단 역사, 6.25 전쟁 자료, 남북 교류 관련 전시가 배치되어 있으며, 영상실에서는 통일 교육 다큐멘터리를 상영하여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야외 전망대에 서면 개성 시내와 북한 마을의 논밭, 건물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할 정도로 가깝게 느껴진다. 멀리 보이는 듯하지만 불과 몇 킬로미터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거리에서, 날씨가 맑을 때는 개성 시내와 주민들의 생활 모습을 망원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북한이 가장 잘 보이는 전망대 중 하나인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서울 도심에서 차로 약 한 시간 남짓이면 도착할 수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며, 연간 약 100만 명의 국내외 관광객이 방문하는 인기 있는 안보 견학지이다. 이날 기자는 망원경을 통해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는 개성 주민의 일상을 엿보며 ‘가깝지만 먼 나라’라는 분단의 현실을 다시 한번 실감했다. 실내 전망대에서는 개성과 파주의 지형지물을 모형으로 나타내어 비교하며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곳은 단순한 나들이 장소를 넘어, 분단의 현실과 통일의 가능성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살아있는 현장이다.
이러한 분단의 현실을 배경으로, 최근 발표된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은 이러한 정책이 나와 당신의 삶과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해보다 약 20% 이상 증액된 1조 2,378억 원 규모의 예산은 남북협력기금을 1조 25억 원으로 확대하며 인도적 지원, 경제 협력 사업, 문화 교류 및 국민 공감 프로젝트 등에 배분된다. 특히 체험 사업, 민간 통일운동, 통일 문화 교육 등이 예산안에 새로 포함됨으로써, 국민들이 통일 관련 정책을 ‘보고, 느끼는’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 예산은 눈에 보이지 않는 삶의 격차, 역사적 상처, 그리고 앞으로 닦아나가야 할 평화의 길을 담고 있다.
예산은 크게 인도적 문제 해결, 경제협력 기반 조성, 사회문화 교류, 국민 공감 확대 분야에 배분된다. 인도적 문제 해결에는 약 6,810억 원이 책정되어 이산가족 지원과 구호 활동에 집중된다. 경제협력 기반 조성은 교류 협력 보험, 경제협력 대출 등을 포함하여 남북 교류 재개 시 활용될 수 있는 토대 마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문화 교류는 남북 간 문화·체육 교류, 민간 교류 사업 등이 소규모로 반영되었으며, 국민 공감 확대는 통일 문화 체험, 민간단체 지원, 사회적 대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러한 예산 항목이 단순한 ‘정책 사업’에 머무르지 않고, 국민 공감 사업이 오두산 통일전망대나 DMZ 탐방과 같은 현장 체험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정부 예산은 곧 국민이 통일 문제를 ‘체험’할 기회를 넓히는 자원으로 작동할 수 있다. 오두산 통일전망대 이용객에게는 DMZ 생생누리 방문 시 입장료의 반액 할인이라는 ‘DMZ 연계할인’이 제공되어, 가을 나들이와 안보 견학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마주한 북한 너머의 풍경은 통일·안보 정책이 단순한 정부 문서 속 숫자가 아님을 알려주었다.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은 증액된 규모와 신규 사업을 통해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인도적 지원, 경제협력, 통일 문화 및 국민 체험 사업 등은 국민의 삶 속에서 통일에 대한 생각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귀추가 주목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예산이 책상 위에만 머무르지 않도록 집행 가능성, 남북 관계의 흐름, 주민과 민간단체의 참여, 지역 인프라 정비 등 다양한 요소가 함께 작동해야 한다는 점이다. 화창한 날씨 속 청명한 하늘과 함께 풍경을 바라봤던 오두산 통일전망대처럼, 눈앞의 풍경이 통일의 가능성을 상상하게 하는 공간들이 많아지고, 예산이 그 공간들을 지원하는 힘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