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이 공직 진출을 희망하지만, 막연한 정보 속에서 길을 잃고 방황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복잡하고 방대한 채용 정보와 준비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 부족은 많은 청년들에게 공직을 ‘넘기 힘든 벽’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해 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2025년 공직박람회가 청년들의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며 개최되었다.
이번 박람회는 9월 10일부터 11일까지 수원에서, 그리고 9월 15일부터 16일까지 부산에서 성황리에 진행되었다.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총 72개 기관이 참여하여, 그동안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던 공직 채용 정보를 한데 모아 제공하는 종합적인 해결책을 제시했다. “공직, 대한민국의 미래를 여는 첫걸음”이라는 슬로건 아래, 박람회는 참가자들이 공직 사회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구체적으로, 박람회는 크게 네 가지 주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청년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했다. 첫째, 공직선배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해 5·7·9급 공채, 지역 인재, 소방·경찰 등 다양한 분야의 현직 공무원들이 자신들의 준비 과정과 실제 공직 경험담을 공유하며 청년들의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구체적인 조언을 제공했다. 둘째, 모의 면접 및 모의시험 프로그램은 9급 공채 국어·영어 시험과 PSAT 모의시험을 실제 시험 환경과 유사하게 구성하여, 참가자들이 자신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점검하고 시험 준비에 대한 감을 익힐 수 있도록 했다. 특히 PSAT 모의시험 후 제공된 상세 해설은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는 솔루션으로 작용했다. 셋째, 채용 설명회에서는 각 부처와 기관의 인사 담당자들이 직접 나서 선발 절차, 진출 경로, 최신 채용 정보 등을 상세히 안내하며, 참가자들이 얻기 어려웠던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자신에게 유리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러한 종합적인 솔루션들은 공직 진출을 희망하는 청년들이 겪는 정보 부족과 준비 과정의 어려움이라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람회는 단순히 정보를 나열하는 것을 넘어, 고등학생부터 대학생, 일반인까지 공직에 관심 있는 모든 이들에게 공직 사회를 깊이 이해하고 실질적인 준비 방안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종합 플랫폼으로서 기능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참가자들은 공직 준비 과정에 대한 막연함을 해소하고, 구체적인 목표 설정과 체계적인 준비 계획을 수립하는 데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결국 2025 공직박람회는 청년들의 공직 진출이라는 ‘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며, 대한민국 미래를 여는 첫걸음을 성공적으로 지원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