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립극장은 ‘세계 음악극 축제’라는 이름으로 축제의 열기에 휩싸여 있다. 이 축제는 9월 3일부터 28일까지 열리고 있으며, 단순한 공연을 넘어 한국 창극을 중심으로 동시대 음악극의 흐름을 조망하고 동아시아 국가 간의 문화 교류를 활성화하려는 야심 찬 시도를 담고 있다. 축제의 첫해이자 ‘동아시아 포커싱(Focusing on the East)’을 주제로 기획된 이번 행사는 한국 창극을 비롯해 중국, 일본 3국의 전통 음악 기반 음악극 총 9개 작품, 23회의 공연으로 구성되어 약 한 달간의 풍성한 예술적 경험을 선사한다.
국립극장의 ‘세계 음악극 축제’가 주목받는 이유는 그 태동부터 특별한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이 축제는 국립창극단을 주축으로 새롭게 기획된 행사로, 앞으로 세계적인 음악극 축제로 발돋움하겠다는 국립극장의 포부를 담고 있다. 올해 제1회 축제의 개막작으로는 국립극장 제작 공연인 국립창극단의 신작 <심청>이 무대에 올랐다. <심청>은 우리에게 익숙한 고전소설의 주인공인 효녀 심청의 이야기를 다루지만, 기존의 고정관념을 타파하고 심청을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인물로 재해석했다는 점에서 신선함을 더한다. 2017년 ‘올해의 연출가’로 선정된 요나 김이 극본과 연출을 맡아 전통 판소리의 깊이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시각으로 재해석된 <심청>은 관람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했다.
축제는 <심청>의 성공적인 시작을 발판 삼아 다양한 해외 및 국내 작품들을 선보였다. 특히 9월 13일에는 해외 초청작으로 중국 월극 <죽림애전기>와 국내 초청작 <정수정전>이 연이어 무대에 오르며 관객들에게 다채로운 문화적 경험을 제공했다. 홍콩에서 온 단체 관광객들이 <죽림애전기>를 관람하기 위해 국립극장을 찾은 모습은 이 축제가 단순한 공연 관람을 넘어 문화관광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죽림애전기>는 중국 월극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감각을 더한 작품으로, 위나라 말기부터 진나라 초기까지를 배경으로 ‘죽림칠현’ 후손들의 삶을 그려내며 관객들의 흥미를 유발했다. 이 작품은 2023년 홍콩 아츠 페스티벌에서 호평을 받은 바 있으며, 이번 축제를 통해 국내에 처음 소개되었다.
이번 축제는 관객과의 인터뷰를 통해서도 그 의미를 더했다. 대학원에서 문화예술경영학을 전공하는 중국인 유학생 호곤 씨는 <죽림애전기> 공연을 관람하며 작품이 가진 가정적, 국가적 측면의 서사와 문화적 원형에 현대 기술이 더해진 점을 꼼꼼히 기록했다. 호 씨는 국립극장의 ‘세계 음악극 축제’가 한국 문화정책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보여주는 훌륭한 행사라고 평가하며, 한국 문화 콘텐츠 제작자들이 가진 세계화된 시각과 문화 수출 의식, 그리고 선진국의 장점을 흡수하는 능력을 높이 샀다. 그는 특히 한국 문화의 우수성과 더불어 외국인으로서 느끼는 접근성의 용이함에 대해 언급하며, 한국 문화가 전 세계로 확산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강조했다. 호 씨는 앞으로 한중 문화 교류 사업에 참여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며, 이번 축제가 동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확장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국내 초청작 <정수정전>은 조선 말, 자신의 이름으로 당당하게 살아가고자 남장을 하고 과거 시험에 도전하는 정수정의 서사를 판소리와 민요를 통해 풀어낸 작품이다. 유교 사상이 팽배했던 당시 여성으로서 겪는 고충 속에서도 홀로서기를 시도하는 정수정의 이야기는 많은 관객들에게 깊은 공감을 얻었다. <정수정전>은 민간단체인 타루의 작품으로, 국립극장 무대에 설 기회를 얻었다는 점에서 이번 축제의 협업과 소통의 의미를 더했다. 작품 제작에 참여한 관계자는 자신의 이름을 지키며 꿋꿋하게 살아가는 것에 초점을 맞췄으며, 배우가 작창과 창작에 참여하는 공동 창작 방식으로 제작되었다고 밝혔다.
‘동아시아 포커싱’이라는 첫 번째 주제를 성공적으로 선보인 ‘세계 음악극 축제’는 앞으로 전 세계 다채로운 음악극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글로벌 축제로 확장될 예정이다. 국립극장은 이번 축제를 위해 ‘부루마블’ 이벤트 등 관람객들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즐길 거리도 마련했다. 예매 관객들에게 제공되는 ‘부루마블’ 판에 공연 관람 도장을 찍어 일정 횟수를 달성하면 한정판 축제 굿즈를 받을 수 있는 혜택도 제공된다. 국립극장 누리집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번 축제는 광주아시아문화전당, 국립민속국악원 등과 연계하여 진행되는 한·중·일 공연을 통해 그 범위를 더욱 넓혀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