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장이 ‘창극 중심 세계 음악극 축제’를 개최하며 한국 창극을 넘어 동아시아 음악극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미래를 조망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9월 3일부터 28일까지 4주간 국립극장에서 펼쳐지는 이번 축제는 ‘동아시아 포커싱(Focusing on the East)’을 주제로, 우리나라 창극을 중심으로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전통 음악 기반 음악극 총 9개 작품을 선보인다. 이는 한국 창극의 세계화를 위한 첫걸음이자, 동아시아 음악극의 다채로운 교류를 도모하려는 국립극장의 야심 찬 시도로 풀이된다.
이번 축제가 열리게 된 배경에는 한국 고유의 음악극인 창극의 세계적인 확산 가능성을 타진하고, 동아시아 지역의 풍부한 음악극 유산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분명한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창극은 1900년대 초 판소리를 기반으로 여러 배우가 배역을 나누어 연행하는 연극적 형태로 발전해 온 한국 고유의 장르다. 판소리의 ‘창(노래)’, ‘아니리(사설)’, ‘발림(몸짓)’ 등 핵심 요소를 계승하면서도, 다인극 형식으로 확장되어 더욱 풍성한 서사를 담아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축제가 열리는 가운데, 제1회로 개최되는 국립극장의 ‘세계 음악극 축제’는 그 의미를 더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국립극장은 ‘동아시아 포커싱’이라는 주제 아래, 해외 초청작 3편, 국내 초청작 2편, 그리고 국립극장 제작 공연 4편을 포함한 총 9개 작품으로 23회의 공연을 준비했다. 개막작으로는 국립창극단의 신작 <심청>이 무대에 올라 국내외 관객들의 호평을 받았다. <심청>은 전통적인 효녀 심청 이야기에서 나아가, 억압받던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인물로 재해석되어 현대적인 시각을 제시했다. 특히 2017년 ‘올해의 연출가’로 선정된 요나 김 연출가의 연출은 전통 판소리의 깊이를 유지하면서도 오늘의 시선으로 작품을 풀어내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번 축제에서는 중국 월극의 정수를 보여준 <죽림애전기>와 조선 말 여성의 삶을 그린 <정수정전> 등 다양한 국내외 작품들이 관객들과 만났다. <죽림애전기>는 홍콩 아츠 페스티벌에서 호평받은 작품으로, 가면을 쓴 배우들이 노래, 춤, 연기, 무술을 결합한 월극의 매력을 선보였다. 중국인 유학생 호곤 씨는 이 작품을 통해 가정과 국가를 넘나드는 서사, 그리고 전통과 현대 기술의 조화에 감탄하며 한국 문화정책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또한 한국 문화 콘텐츠의 세계화된 시각과 문화 수출 의식이 인상 깊었다고 밝히며, 한중 문화 교류에 대한 열정을 드러냈다. <정수정전>은 조선 말 여성으로서 자신의 이름으로 당당히 살아가고자 했던 정수정의 서사를 판소리와 민요를 통해 풀어낸 작품으로, 작창과 창작에 배우들이 참여하는 공동 창작 방식을 통해 더욱 풍성한 이야기를 완성했다. “모든 것의 중심에 너를 두거라”라는 대사는 작품의 메시지를 함축적으로 보여주었다.
이처럼 <세계 음악극 축제>는 동아시아 3개국의 전통 음악극을 중심으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탐구하는 귀한 기회를 제공한다. 국립극장 단독 공연뿐만 아니라 광주아시아문화전당, 국립민속국악원 등 전국 여러 기관과 연계하여 더욱 풍성한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향후 해외 작품 초청과 국공립 및 민간 단체와의 협업을 통해 전 세계 다채로운 음악극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글로벌 축제로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극장은 예매 관객들에게 ‘부루마블’ 이벤트와 같은 즐길 거리도 제공하며 축제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있다. 이번 축제가 한국 창극의 위상을 높이고, 나아가 전 세계 음악극의 교류와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