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생명체가 의존하는 지구 생태계의 근간을 이루는 곤충들이 기후변화라는 거대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곤충은 물과 토양을 정화하고, 식물의 수분을 매개하며, 먹이사슬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다. 또한 미래 식량 자원과 산업 소재로서의 잠재력까지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생존마저 위협받는 상황은 생태계 전반에 대한 심각한 경고를 울리고 있다. 9월 7일 ‘곤충의 날’을 맞아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린 특별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은 이러한 곤충의 위기를 조명하며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우고 있다.
이번 전시는 4억 년 이상 지구에서 살아남으며 단단한 외골격과 놀라운 변태 과정을 통해 환경 변화에 적응해 온 곤충들이 현재 기후변화 앞에서 속수무책으로 흔들리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지구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군으로 꼽히는 곤충들조차 기온 상승으로 인해 서식지를 잃거나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하며 개체 수가 줄어드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곤충의 변화는 단순한 생물학적 현상을 넘어, 인류가 직면한 기후 위기를 보여주는 생생한 지표로 해석된다.
전시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곤충들의 다양한 적응 사례를 소개한다. 먹그림나비와 푸른큰수리팔랑나비와 같이 더 따뜻한 지역을 찾아 북상하며 서식지를 옮기는 종이 있는 반면,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처럼 기후변화에 빠르게 적응하여 오히려 서식지를 확장하는 종도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모든 곤충이 이러한 적응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큰그물강도래와 철써기와 같은 종은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으며, 이는 곧 해당 서식지 생태계의 불안정성을 의미한다.
특히 문제는 이미 멸종 위기에 처한 종들에게 더욱 심각하게 다가온다. 한때 조선시대 그림에도 등장할 정도로 흔했던 붉은점모시나비는 먹이 식물의 감소로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했으며,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인한 유충 생존율 감소로 멸종 위기에 놓였다. 한국 고유종이라는 점은 더욱 안타까운 현실로, 이들이 한반도에서 사라진다면 전 세계적으로도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됨을 의미한다.
이처럼 곤충의 생존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기후변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바로 인간의 온실가스 배출이다. 지속적인 온실가스 배출은 지구의 온도를 계속해서 상승시키며, 이는 해수 온도와 해수면 상승으로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심각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인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한 줄여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번 전시는 이러한 탄소중립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 역시 일상생활 속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수 있음을 제시한다.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실천 가능한 기후 행동 방안들을 소개하며 관람객들이 지구의 미래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하게 만든다. 국립과천과학관의 이번 전시는 곤충을 통해 기후변화가 생태계를 넘어 인류에게까지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명확히 보여주며, 우리가 지켜야 할 지구의 미래를 다시 한번 되새기고 일상 속 탄소중립 실천의 계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전시는 10월 26일까지 이어지며, 특히 자녀들과 함께하는 가정이라면 방문하여 생태계의 소중함과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을 배우는 시간을 갖는 것을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