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 심리 위축이라는 만성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동행축제’는 침체된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소상공인들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기 위한 전국 단위의 대규모 소비 촉진 행사로 마련되었다. 지난 9월 한 달간 진행된 이번 축제는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총 6634억 원이라는 상당한 매출을 기록하며 그 의미를 더했다. 이는 단순히 숫자를 넘어, 소비 회복에 대한 국민들의 열망과 소상공인들의 땀방울이 만들어낸 값진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이번 9월 동행축제의 성공적인 개최는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해 볼 수 있다. 먼저, 온라인 판매전에서는 총 6307억 원이라는 놀라운 매출을 기록했다. e커머스, TV홈쇼핑, 전통시장몰 등 2만 7000개에 달하는 업체들이 참여했으며, 특히 롯데온에서 진행한 ‘동행제품100’ 기획전은 대표적인 온라인 판매 채널로서 큰 주목을 받았다.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는 13배 이상 매출이 증가하는 등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큰 호응을 얻었으며,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과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은 각각 6400만 원,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축제의 대표 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327억 원의 매출 성과를 달성하며 내수 활성화에 기여했다. 총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이 운영되었으며,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라는 축제의 목표에 맞춰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높였다. 전체 행사의 76%에 해당하는 110곳이 비수도권에서, 24%에 해당하는 34곳이 인구감소 지역에서 진행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대한 의지를 분명히 했다. 제주 개막식은 APEC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진행되어 1만 8000명이 방문하는 등 성황을 이루었고, 이틀간 열린 판매전에서 제주 지역 소상공인 51개 사가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롯데백화점(잠실점)의 상생판매전 역시 9월 9일부터 11일까지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대기업과 소상공인이 상생하는 유통 구조 구축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번 동행축제는 단순히 상품 판매를 넘어, 상생소비복권과 다양한 민간 기업의 소비 촉진 이벤트가 더해져 더욱 풍성한 행사로 꾸려졌다. 10억 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에는 1000만 명이 응모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또한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 역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특별 혜택을 제공하고 캐시백 및 할인 혜택을 강화하며 소비 촉진에 앞장섰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과 집중호우 피해 지역에 대한 할인쿠폰을 발급하는 등 지역 상권 회복을 위한 노력에도 동참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최원영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말하며, 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개최될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통해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을 제공하여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노력들이 지속된다면 침체된 소비 시장의 회복과 더불어 소상공인들의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