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현재 경제적 어려움, 글로벌 경기 침체, 예측 불가능한 전쟁, 지정학적 불안정, 고물가, 고금리, 청년 실업, 저출산 및 고령화 등 산적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위기 상황은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려운 수준이며, 특히 최근 발표된 자살률 통계는 전 국민의 정신건강이 심각한 위기에 놓여 있음을 시사한다. 학생들은 입시와 취업 준비에 지쳐 미래에 대한 확신을 잃었고, 청년들은 예측 불가능한 사회 속에서 불안과 긴장 속에 살아간다. 노인들 역시 신체적, 경제적, 정서적 어려움 속에서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있어, 우리 사회 전반이 마치 끝이 보이지 않는 긴 터널 속에 갇힌 듯한 답답함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희망’을 이야기하는 것조차 사치로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대한민국은 이미 세계적인 주목을 받는 문화 강국으로 자리매김했으며, K-pop, K-drama, K-food는 세계인의 일상에 깊숙이 스며들었다. BTS, 블랙핑크, 영화 ‘기생충’, ‘오징어게임’ 등은 한국 문화를 세계 중심 무대로 이끌었으며, 이는 오랜 시간 축적된 창의성과 끈기, 노력의 결실이다. 경제적으로도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으며, 정보통신, 의료, 교육, 치안 등 여러 분야에서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 해외에서는 대한민국의 질서, 시민의식, 안전함에 놀라며, 밤늦은 시간에도 안심하고 거리를 활보할 수 있다는 점에 경탄한다. 카페에 노트북이나 핸드폰을 두고 자리를 비워도 안심할 수 있는 나라는 다른 곳에서는 상상하기 어렵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평범함이 얼마나 특별한 것인지 잊고 살아왔다. 물질적 풍요는 이루었지만, 정서적으로는 불안하고 고립되었으며 쉽게 지쳐버리는 사회가 되어버렸다. 이는 어쩌면 너무 열심히, 너무 오랜 시간 앞만 보고 달려온 대가일 수 있다.
이제 대한민국은 단순히 경제 성장이나 기술 발전을 넘어, 삶의 가치를 회복하고 지나온 삶을 돌아보며 여유를 갖고 마음을 회복하는 일이 필요한 시점이다. 과거 전쟁의 폐허 속에서 산업화를 이루고, 독재를 넘어 민주화를 성취했으며, 전후의 극심한 가난 속에서도 자녀 교육을 포기하지 않았던 우리의 부모들과 선조들의 끈기와 저력은 단순한 운이 아닌, 우리 민족 속에 깊숙이 자리한 ‘희망의 유전자’ 덕분이다. 이제 우리는 어려운 현실 앞에서 주저앉을 것인가, 아니면 수많은 위기를 이겨낸 그 ‘희망의 유전자’를 다시 꺼내 들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답은 분명하다. 우리는 할 수 있고 이미 수없이 해냈다. 우리가 맞서야 할 것은 외부의 위협뿐만 아니라, 우리 스스로 마음속에 품은 불안과 두려움, 그리고 부정적인 생각이다.
새 정부는 특정 지역이나 특정 집단의 정부가 아닌, ‘우리 모두의 정부, 우리의 대통령’이어야 한다. 많은 국민들이 변화와 혁신을 기대하는 만큼, 정부는 국민의 희생과 열정을 기억하고, 이 열정과 에너지가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우리 국민이 가진 창의성, 근면성, 공동체 정신은 이 사회를 다시 한번 도약시킬 소중한 자산이다. 정부와 대통령은 국민을 믿고, 국민은 정부의 진정성과 방향성을 신뢰할 때 진정한 회복이 가능하다. 우리 마음속에 존재하는 ‘희망의 씨앗’이 자랄 수 있도록 토양을 만들고 햇살을 비추는 일이 지금 가장 필요한 과제이다. 앞으로도 많은 난관이 예상되지만, 이제는 ‘혼자 버티는’ 시간이 아닌 ‘함께 걸어가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앞만 보고 달려온 길 위에서 잠시 멈춰, 옆에 있는 사람을 살피고, 지쳐 있는 누군가를 일으켜 세우고, 또한 누군가의 손에 의지해 일어설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건강한 사회이다. 우리 속에 간직한 희망의 유전자는 오랜 고난과 좌절 속에서도 살아남았고,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가슴 속에 뜨겁게 살아 숨 쉬고 있다. 이제는 그 유전자를 다시 꺼내 들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