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일상에 쫓겨 문화생활을 향유할 시간적 여유가 부족한 시민들이 많다. 극장 문턱은 높게만 느껴지고, 문화는 먼 나라 이야기처럼 다가오기 일쑤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국립극단은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더욱 가깝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 예술’이라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펼쳐지는 <한낮의 명동극>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시민들에게 예상치 못한 문화적 선물을 선사한다.
국립극단은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을 무대로 다채로운 거리 공연을 선보인다.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장르를 넘나드는 유연한 구성은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이는 시간을 내어 극장을 찾기 어려운 직장인, 관광객, 그리고 우연히 거리를 지나던 시민들까지 모두 예술의 향유자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술이 삶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하려는 국립극단의 의지를 보여준다.
실제로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열린 인형극 <곁에서> 공연 현장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공연 시작을 알리는 안내 방송에 시민들의 발걸음이 하나둘 멈추었고, 처음에는 호기심 어린 시선으로 바라보던 이들은 점차 이야기에 몰입했다. 단 한 명의 연주자만으로도 아름다운 가야금 선율과 다양한 소품을 활용하여 야외마당을 작은 극장으로 탈바꿈시키는 모습은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냈다. 무대와 객석의 경계가 허물어지며 연주자가 관객과 소통하고 배역을 부여하는 등, 단순한 수동적 관람이 아닌 공연의 일부가 되는 경험은 참여한 시민들에게 일상 속 짧지만 강렬한 예술적 감동을 선사했다.
<한낮의 명동극>은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도 맥을 같이 한다. 국립극단은 ‘365일 열려있는 극장’을 표방하며,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명동人문학’ 강연 프로그램과 ‘백스테이지 투어’ 등 다양한 무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관객층을 확대함으로써, 예술이 가진 본연의 가치를 더 많은 사람들과 나누고자 하는 국립극단의 노력이 담겨 있다.
공연은 작품별로 약 20~40분으로 구성되어 점심시간을 활용하기에도 용이하며, 별도의 예매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단, 공연 중 폭우가 예보될 경우 공연 중단 또는 취소가 될 수 있다.) 남은 일정 중 ‘문화가 있는 날’에 열리는 공연은 9월 24일과 10월 29일이다.
더불어, 전국 각지의 문화 혜택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에서는 ‘문화가 있는 날’에 제공되는 다양한 할인, 무료 관람, 연장 개방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바쁜 현대 사회 속에서 잠시 걸음을 멈추고 만나는 이러한 작은 예술 무대는 시민들에게 일상의 쉼표이자 특별한 문화적 휴식이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