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생태계의 근간을 이루는 곤충이 기후변화의 직격탄을 맞으며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 곤충은 물과 토양을 정화하고 식물의 수분을 매개하며 먹이사슬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등 지구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인 존재다. 또한 미래 식량 자원 및 산업 소재로서의 잠재력 또한 크다. 하지만 이러한 곤충들이 기후변화로 인해 서식지를 잃거나 개체 수가 급감하는 현상이 속출하면서, 이는 곧 생태계 전반의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립과천과학관은 9월 7일 곤충의 날을 맞아 9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곤충생태관에서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을 개최하며 곤충이 직면한 기후변화의 현실을 조명한다. 2019년 제정된 곤충의 날은 곤충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고, 곤충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하기 위해 마련된 날이다. 이번 전시는 약 4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곤충의 역사를 소개하며, 단단한 외골격과 탈바꿈이라는 진화 전략으로 다양한 환경에 적응해 온 곤충이 기후변화라는 거대한 위협 앞에서는 속수무책임을 보여준다.
전시는 기후변화로 인해 곤충의 삶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먹그림나비, 푸른큰수리팔랑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 푸른아시아실잠자리 등은 더 따뜻한 지역을 찾아 서식지를 북상하며 이동하고 있다. 반면,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는 기후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며 오히려 서식지를 확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큰그물강도래와 철써기와 같은 종은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해 생존 위기를 겪고 있다. 특히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유충 생존율이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놓였으며, 조선시대 그림에도 등장할 정도로 흔했던 붉은점모시나비는 먹이식물 감소로 인해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이처럼 곤충의 변화는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생물지표 역할을 하고 있다.
기후변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온실가스 배출이며, 이는 지구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킨다. 이러한 온도 상승은 해수 온도와 해수면 상승으로까지 이어지는 등 지구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전시는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한 줄여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기업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노력으로도 실천 가능하다. 전시는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기후 행동 방안을 제시하며 관람객들에게 탄소중립 실천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이번 전시는 곤충을 통해 기후변화 위기가 생태계를 넘어 인간의 삶까지 위협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명확히 보여주며, 우리가 지켜야 할 지구의 미래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특히 초등학생을 포함한 가정이라면 10월 26일까지 이어지는 이 전시를 통해 기후변화와 탄소중립에 대한 소중한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