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고조된 우리 문학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어떻게 지속시키고, 문학이 지닌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를 실질적으로 확산시킬 것인가. 이는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 출범과 함께 제기된 핵심적인 문제이다. 올해 처음으로 개최된 이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그간 산발적으로 진행되었던 국내 대표 문학 행사들을 통합하여 그 목적성을 분명히 하려 했다. 하지만 과연 축제가 기획 의도대로 문학의 저변을 넓히고 대중과 깊이 호흡하는 장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요구된다.
이번 축제의 일환으로 열린 ‘문학주간 2025’는 ‘도움―닿기’라는 주제를 통해 문학이 우리 삶의 균열을 비추고, 나아가 서로의 삶에 닿을 수 있는 ‘작은 구름판’ 역할을 하기를 바라는 메시지를 던졌다. 이는 치열한 시간 속에서 잠시 멈추어 숨을 고르고, 타인의 삶에 기대어 함께 도약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자는 취지이다. 특히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이라는 주제 스테이지에서는 글쓰기에 대한 실질적인 조언들이 제시되었다. “때로는 가장 수치스러운 것을 써야 글이 살아난다”거나 “문장이 삶으로 증명 가능한지 자문해 보라”는 작가들의 경험담은 글쓰기가 단순한 기술이 아닌 자기 고백이자 용기임을 일깨웠다. 더불어 “예술가가 아니라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써 보라”는 충고는 글쓰기에 대한 막연한 부담감을 덜어주는 현실적인 제언으로 다가왔다. 이러한 메시지들은 글을 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읽는 독자에게도 깊은 울림을 주며, 문학이 자기 울타리를 넘어 타인과의 만남으로 나아가는 통로임을 재확인시켰다.
한편, 축제는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시민들을 만날 준비를 하고 있다. 서울뿐 아니라 전국 곳곳의 문학관, 도서관, 서점에서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 국내외 작가 초청 행사, 토크와 낭독 무대, 독서대전 등이 펼쳐지고 있다.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의 일환으로 ‘2025 고양독서대전’이 10월에 개최될 예정이며, 9월 독서의 달을 맞아 지역 도서관에서도 다양한 연계 행사가 진행된다. ‘2025 책 읽는 대한민국’ 캠페인 역시 9월 말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북토크, 공연, 전시 등 풍성한 프로그램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러한 전국적인 확산은 축제가 특정 계층만의 문화 행사를 넘어, 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 잡는 ‘생활 속 문학축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다. 과거 ‘책 읽는 대한민국’에 참여했던 시민들이 여름 휴식기를 거쳐 가을을 맞아 다시 활동을 이어가는 모습은 문학이 꾸준한 관심과 참여를 통해 더욱 발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첫 회라는 상징성과 전국적인 행사 규모를 통해 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재조명하고 대중의 참여를 유도하려는 분명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문학이 책장 속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읽고 만나고 쓰며 함께 즐길 때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이번 축제가 기회 삼아 확산시키기를 기대한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시민이 가까운 도서관과 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책 읽는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는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해야 할 것이다. 야외 프로그램 일부가 날씨로 인해 취소되는 등의 변수가 있었지만, 포켓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 같은 작은 체험 프로그램이 오래 기억에 남는 것처럼, 축제가 시민들의 일상 속에 깊은 인상을 남기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