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처음으로 개최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높아진 우리 문학에 대한 관심을 이어가고, 문학이 지닌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를 확산하려는 시도로 기획되었다. 하지만 이처럼 야심 찬 출발에도 불구하고, 문학 축제가 실질적으로 국민들의 독서 생활을 증진하고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데 있어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재해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문학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국내 유수의 문학 행사들을 하나로 아우르는 통합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서울뿐 아니라 전국 각지의 문학관, 도서관, 서점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동시에 진행되며 국민들이 문학을 더욱 가깝게 접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문학주간 2025’에서는 ‘도움―닿기’라는 주제를 내걸고, 문학이 우리 삶의 균열을 비추고 서로에게 닿을 수 있는 매개체가 되기를 바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는 달리는 시간 속에서 잠시 멈춰 숨을 고르고, 타인의 삶에 기대어 함께 도약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하지만 축제의 현장에서는 예상치 못한 어려움도 발생했다.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의 일환으로 열린 ‘2025 문학주간’의 야외 프로그램은 아쉽게도 비로 인해 일부가 취소되는 상황을 겪었다. 비록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 같은 일부 체험 프로그램에는 참여할 수 있었으나, 스탬프 투어나 문학 퀴즈와 같은 다양한 활동들이 무산되면서 행사 전반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는 단순히 날씨라는 외부 요인뿐만 아니라, 행사의 기획 및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수에 대한 보다 면밀한 대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한편, ‘2025 대한민국 독서대전’은 문학 축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지난 9월 19일부터 21일까지 김포시에서 열린 ‘제12회 대한민국 독서대전’은 ‘책으로 새로고침’이라는 슬로건 아래, ‘새로 알다, 새로 잇다, 새로 심다, 새로 펴다’라는 가치를 담아냈다. 이 행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그리고 김포시가 주관·주최하며, 책의 도시로 선정된 김포를 지식과 지혜를 나누는 장으로 성장시키고 국민 모두가 독서 시민으로 거듭날 수 있는 축제의 장을 마련하는 데 주력했다.
독서대전에서는 ‘펫 프렌들리 독서존’을 운영하여 반려견과 함께 행사장을 찾은 이들에게 편의를 제공했고, 거점안내소에서 독서 시민권을 발급하거나 부스마다 QR코드를 통해 스탬프를 모으는 이벤트를 진행하며 참여를 독려했다. 책갈피 만들기, 도서 설명 듣기, 색칠 놀이, 나만의 요괴 만들기 등 다양한 연령층이 즐길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은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특히 좋은 반응을 얻었다. 또한, 산림원과 협력하여 ‘현대산림문학 100선’을 소개하고, 큰글자책 보급 지원 사업을 홍보하며 독서 접근성을 높이려는 노력도 돋보였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도서관협회가 주최·주관하는 이 사업은 2009년부터 현재까지 총 364종의 큰글자책을 보급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신규 큰글자책 보급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처럼 ‘2025 대한민국 독서대전’은 단순한 책 축제를 넘어 국민 모두가 독서로 하나 되는 문화 축제로서, 방문객 7만 명이라는 높은 참여율을 기록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120개의 참여 부스에서 진행된 열정적인 홍보와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책이 우리 삶에 얼마나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보여주었고, 참여자들에게 적극적인 독서 생활에 대한 동기를 부여했다. 특히, 각 지역 도서관의 프로그램이나 신간 도서 보급이 당연한 것이 아닌 국가를 포함한 모두의 노력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재확인시켜 주었다.
결론적으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와 ‘2025 대한민국 독서대전’은 문학이 가진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를 확산하고, 국민들의 독서 생활을 증진하며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준다. 하지만 야외 프로그램 취소와 같은 예상치 못한 변수에 대한 대비책 마련, 그리고 다양한 계층과 상황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및 홍보 강화 등은 앞으로 이러한 문학 축제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문학 축제가 책장 속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국민들이 직접 읽고 만나고 쓰며 함께 즐길 때 비로소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