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마다 고유한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도시의 정체성을 높이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문화도시’ 개념이 단순한 문화 행사 개최를 넘어 지역 발전의 핵심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문화도시 사업 선정 이후에도 실질적인 변화를 체감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특히, ‘대구’나 ‘칠곡’과 같이 뚜렷한 문화적 정체성이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던 지역에서는 문화도시 선정 사실조차 시민들에게 제대로 알려지지 않아, 지역 소멸 위기 속에서 문화적 활력을 불어넣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제4차 문화도시로 선정된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은 ‘2025 문화도시 박람회’에 참여하여 자신들의 문화도시 사업 발자취를 선보이고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했다. 대구 달성군은 문화활동가 양성, 문화교실 운영, 청년 축제 ‘위터스플래쉬’ 개최 등 세대별 맞춤형 사업을 추진하며 지속 가능한 문화 생태계 구축과 시민 주도 프로그램 발굴에 힘쓰고 있었다. ‘들락날락 매거진’을 통해 타 지역보다 다양한 소재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청년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꾸준한 노력을 강조했다. 또한,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한 포춘쿠키 이벤트 등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이벤트를 통해 지역 문화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 노력하는 모습이었다.
경북 칠곡군은 인문학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칠곡로컬팜투어, 우리동네 문화카페, 주민기획 프로그램, 칠곡인문학마을축제 등 주민들이 함께 어울려 인문학을 향유할 수 있는 구성이 돋보였다. 특히, 10월 18일부터 19일까지 개최될 ‘칠곡 문화거리 페스타’는 주민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참여할 수 있는 축제임을 알리며, 지역 문화에 대한 개방적인 접근을 시사했다. 이와 함께, 2025 문화도시 박람회의 포럼에서는 밀양, 속초 등 타 지역 문화도시 관계자들의 현장 이야기를 통해 인구 유출과 감소, 지역 소멸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을 공유하며, 대구 역시 오래 살기 좋은 도시, 발전하고 있는 도시라는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함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문화도시 사업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이다.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은 물론, 37개 문화도시가 운영하는 카카오 채널, 인스타그램 등 공식 소셜 미디어를 통해 주기적으로 소식을 받아보고, 가족들과 함께 태권도 시범 공연, 전통문화 체험, 마당극, 북 공연 등 다양한 문화 행사에 참여하며 지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 구체적인 계획들이 논의되었다. 특히, 제4차 문화도시로서 2027년까지 발돋움할 예정인 달성군은 청년 축제 현장을 둘러보는 등 미래 세대를 위한 문화적 기반 마련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2025 문화도시 박람회를 통해 문화도시의 실질적인 노력과 가치를 느낀 만큼, 앞으로도 제4차 문화도시를 포함한 여러 문화도시들의 행보를 꾸준히 관심 있게 지켜보며 지역 문화 발전의 가능성을 응원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