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는 현재 출생률 감소와 고령 인구 증가라는 극명한 변화를 마주하고 있다.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줄어들고 어르신들의 숫자가 해마다 늘어나는 현상은 단순한 인구 통계의 변화를 넘어, 세대 간의 관계까지 소원하게 만들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어야 한다. 현재의 정책 기조 역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보다는, 아이 돌봄, 청년 주거, 노인 복지와 같이 각 세대를 개별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에 머물러 있어 같은 동네에 살아도 세대 간 교류 기회가 줄어들고 함께 어울릴 공간이 축소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안으로 ‘연령통합사회’의 구축이 시급하다. 연령통합사회란, 나이와 상관없이 모든 세대가 자연스럽게 어울리고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도시와 동네를 설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이들이 뛰어노는 공원 옆 벤치에서 어르신이 책을 읽고, 청년들은 지역 마을카페에서 주민들과 함께 일하는 풍경이 낯설지 않은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복지 정책의 한 부분으로 국한될 것이 아니라, 생활 환경 전체의 설계와 운영 방식이 통합적으로 변화해야 함을 시사한다.
실제로 해외에서도 이러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OECD는 ‘모든 세대를 위한 도시(Cities for All Ages)’라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며 도시 공간에서 세대 간 만남과 연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안전한 보행 환경 조성, 세대를 잇는 공동체 공간 마련, 공공 서비스 접근성 강화 등 구체적인 변화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미국 테네시 주 녹스 카운티의 세대혼합형 놀이터 조성이나, 다양한 연령대가 공유하는 공간(카페, 유치원, 시니어케어)이 함께 배치된 주거단지 설계 등은 이러한 연령통합사회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연령통합사회는 단순히 세대가 같은 공간에 거주하는 것을 넘어선다. 더 나아가, 세대 간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공존할 수 있는 사회 환경을 조성하는 데 핵심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아이부터 어르신까지 모두가 이용 가능한 동네 공간, 나이에 구애받지 않고 접근할 수 있는 교통과 서비스, 그리고 세대 간 어울림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커뮤니티 설계가 필수적이다. 또한, 그저 같은 공간에 함께 있는 것을 넘어, 세대가 서로를 이해하고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관계 구조를 형성하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와 프로그램, 그리고 심리적 거리감을 좁히는 디자인이 종합적으로 작동해야 진정한 연령통합이 실현될 수 있다.
현재 대통령 선거 공약에서 나타난 저출생 및 고령사회 대응 정책은 보육, 양육비, 주거 지원, 돌봄, 의료체계 강화 등 각 세대별 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이는 여전히 세대를 분리하여 바라보는 시각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제 우리 사회에 필요한 것은 세대를 따로 보는 방식에서 벗어나 함께 살아가는 방식으로의 전환이다. 단순히 정책을 나누어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전 생애주기를 아우르고 연결하는 정책의 틀을 마련해야 한다. 새 정부는 이러한 전환의 필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공간과 정책, 서비스 설계 전반에 ‘연령통합’의 원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이는 단순한 복지 확장을 넘어, 세대 간의 관계를 회복하고 연결하는 도시와 사회를 건설하는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누구나 나이를 먹으며, 모두가 아이였고 언젠가는 노인이 된다는 당연한 사실을 도시와 정책이 잊지 않아야 할 때다. 지금, 출산율 감소와 고령 인구 증가라는 위기이자 기회를 맞아, 나이와 세대를 가르는 경계를 허물고 서로의 삶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공간과 관계를 만들어가는 전환의 시간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