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장생포의 고래문화특구가 고래를 활용한 다양한 조형물과 장식으로 도시 곳곳을 채우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 포경 산업의 쇠퇴와 함께 도시가 겪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먼저 짚어볼 필요가 있다. 번성했던 포경 산업의 흔적은 이제 장생포문화창고라는 복합 예술 공간으로 재탄생했지만, 그곳에서 맛보는 고래고기는 사라진 산업에 대한 향수와 애도의 정서를 담고 있다. 이는 단순한 식사를 넘어 과거를 회상하고 현재를 조명하는 의례로서, 장생포의 고래는 사라졌지만 그 기억과 문화는 고기 한 점에 담겨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장생포는 지리적 이점 덕분에 선사시대부터 고래가 자주 찾는 깊은 바다였으며, 이는 반구대암각화에 새겨진 고래잡이 그림 등으로도 입증된다. 수심이 깊으면서도 조수차가 적은 장생포 앞바다는 염전 조성과 해조류 성장에 유리했으며, 다양한 강에서 유입되는 부유물 덕분에 새우를 비롯한 작은 물고기들이 풍부했다. 이러한 환경은 고래에게 더없이 좋은 서식지이자 산란지가 되었고, ‘귀신고래’는 장생포의 단골손님이었다. 또한, 큰 선박을 대기 쉬운 항구로서 어업이 성행하며 장생포는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시기를 맞았다. 수출입 선박이 빼곡하고 6~7층 규모의 냉동창고가 즐비했던 과거의 모습은 당시 장생포의 경제적 번영을 짐작게 한다. 1973년 남양냉동을 시작으로 1993년 세창냉동까지 냉동 창고 산업이 발달했지만, 경영난으로 문을 닫으며 폐허가 되기도 했다.
이러한 폐허가 된 냉동 창고는 2016년 울산 남구청이 건물과 토지를 매입하면서 새로운 생명을 얻었다.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2021년 개관한 장생포문화창고는 6층 건물 전체에 다양한 체험장과 전시실을 갖추고 있다. 지역 문화예술인의 거점 역할을 하는 소극장, 녹음실, 연습실부터 특별전시관, 갤러리, 미디어아트 전시관까지 마련되어 있어 방문객들에게 풍성한 문화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어린아이들과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한 ‘에어장생’ 항공 체험과 종이 고래 접기 등은 즐거운 놀거리를 제공하며, 오는 8월 24일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또한, 정선, 김홍도, 신윤복 등 조선을 대표하는 화가들의 작품을 미디어 아트로 재현한 ‘조선의 결, 빛의 화폭에 담기다’ 전시는 시민들에게 새로운 감성을 일깨우며 큰 감동을 선사한다. 수십 년 된 냉동 창고 문을 그대로 활용하여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는 업사이클링의 좋은 예시를 보여준다.
가장 인상적인 공간은 2층에 상설 전시된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이다. 이 공간은 울산 석유화학단지의 성장 과정과 함께 대한민국의 산업 심장부로서 ‘한강의 기적’을 이끈 울산의 역사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쉼 없이 연기를 내뿜던 굴뚝으로 인한 중금속 중독 질환, 이른바 ‘온산병’의 아픔도 함께 다루며 과거의 개발이 남긴 그림자도 조명한다. 해설사의 설명을 통해 울산의 근현대 개발사가 손에 잡힐 듯 그려지며, 과거의 잘못된 선택에서 배우는 교훈을 되새기게 한다.
장생포 고래잡이 산업은 IWC(국제포경위원회)의 결정으로 1986년 상업 포경이 전면 금지되면서 100년도 안 되는 짧은 역사 속에서 명맥이 끊겼다. ‘장생포에서 먹어야 제맛’이라는 말이 있듯, 현재 장생포에서는 밍크고래 등 혼획된 고래만을 합법적으로 유통하여 고래고기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희소성과 금지의 역설’은 고래고기를 더욱 욕망의 대상으로 만들며, 12만 원짜리 ‘모둠수육’은 소고기와 닮은 외형과 다양한 부위의 독특한 식감으로 미식 경험을 선사한다. ‘일두백미’라는 말처럼 고래 한 마리에서도 최소 12가지 이상의 맛이 난다고 전해지며, 특히 ‘우네’와 ‘오배기’ 같은 고급 부위는 고래 특유의 맛과 식감을 극대화한다.
장생포의 고래요릿집은 단순한 식사 장소를 넘어, 사라진 산업과 생업, 그리고 포경선에 대한 향수를 담아낸다. 고래고기 한 점을 통해 과거를 애도하고 회상하는 의례는 그 자체로 문화적 지층을 형성한다. 장생포의 고래는 사라졌지만, 그 기억과 이야기는 고기, 도시, 그리고 공동체의 내일을 준비하는 현재 속에 살아 숨 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