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연휴가 방학처럼 느껴지는 요즘, 많은 이들이 문화생활을 통해 여유를 찾고자 하지만 만만치 않은 티켓 가격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 향유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침체된 문화예술계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정부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9월 25일부터 2차 공연·전시 할인권 배포를 시작한 것은 바로 이러한 배경 때문이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지난 1차 발행 때와는 다른 전략을 가지고 운영된다. 1차 발행 당시 6주의 사용 유효기간 설정으로 인해 발급 후 미사용 비율이 높았던 점을 개선하여, 실사용률을 높이기 위해 일주일의 사용 유효기간을 설정하고 남은 할인권은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는 연말 성수기를 고려하여 12월 31일까지 관람 예정인 공연 및 전시에 할인권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더욱 적극적으로 할인 혜택을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려는 취지다.
구체적으로, 9월 25일부터 매주 목요일 오후 2시에 할인권이 발급되며, 발급받은 할인권은 해당 주차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한다. 기간 내 사용하지 못한 할인권은 자동 소멸되지만, 매주 목요일마다 새로운 할인권이 발행되므로 사용 기회를 다시 얻을 수 있다. 할인권은 네이버예약, 놀티켓, 멜론티켓,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예스24 등 7개 온라인 예매처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다.
온라인 예매처별로 공연은 1만 원, 전시는 3천 원의 할인권이 매주 인당 2매씩 발급되며, 결제 1건당 할인권 1매가 적용된다. 개별 공연 및 전시 상품 가격이 아닌 총 결제 금액을 기준으로 할인이 적용되기 때문에, 티켓 가격이 할인권 금액보다 낮더라도 여러 장의 티켓을 구매하여 최소 결제 금액 이상을 충족하면 할인권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할인권은 공연 1만 5천 원, 전시 5천 원으로, 비수도권 지역 관람객에게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한다.
다만, 할인 적용 대상은 명확히 규정되어 있다. 공연 분야는 연극, 뮤지컬, 서양음악(클래식), 한국음악(국악), 무용 등이며 대중음악과 대중무용 공연은 제외된다. 전시 분야는 전국 국·공립, 사립 미술관 등에서 진행되는 시각예술 분야 전시와 아트페어, 비엔날레에 적용 가능하며 산업 박람회 등은 제외된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단순히 문화생활 비용 부담을 줄여주는 것을 넘어, 그동안 가격 때문에 문화 향유를 망설였던 많은 사람들에게 적극적으로 공연과 전시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주변에서 자주 듣는 ‘취미 생활을 즐기고 싶지만 티켓 가격이 부담된다’는 이야기처럼, 이번 할인권은 이러한 문화 향유의 문턱을 낮추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흐린 하늘이 계속되는 요즘, 실내에서 공연이나 전시를 즐길 계획이 있다면 정부가 제공하는 공연 및 전시 할인권 혜택을 잊지 말고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풍요로운 문화생활을 누리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