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어디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콩나물국밥이 전라북도에서는 단순한 한 끼 식사를 넘어 지역의 최고 음식으로 자리매김하며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많은 이들이 집에서는 즐겨 찾지 않을 법한 이 대중적인 국밥이 지역의 대표 음식으로 사랑받게 된 배경에는, 콩나물국밥이 지닌 고유한 지역적 특색과 그것을 발전시킨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박찬일 셰프의 분석에 따르면, 세상의 모든 지역은 각기 고유한 삶의 방식과 식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는 비슷한 듯 다른 말씨, 차림새, 그리고 습속으로 나타나며, 음식에서도 미묘한 변주를 보여준다. 심지어 같은 나라 안에서도 중국 화교가 시작한 짜장면이나 짬뽕조차 지역별로 맛과 스타일이 달라지는데, 이는 음식의 고유한 맛을 지키려는 주방장과 이를 기대하는 손님들의 욕구가 반영된 결과다. 굳이 모든 음식을 통일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달라야 맛있다는 인식이 음식을 더욱 풍성하게 만든다.
서울을 비롯한 많은 지역에서 콩나물국밥은 백반에 곁들여 나오는 흔한 국으로 인식되어 왔다. 대중적인 가격 때문에 건더기가 부실하고 푹 퍼진 콩나물로 인해 특별한 맛을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라북도는 이러한 콩나물국밥에 대한 인식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전라북도, 특히 전주를 방문하는 사람들은 콩나물국밥 한 그릇을 주문하는 과정에서도 다채로운 선택지를 마주하게 된다. 수란으로 할지, 날계란으로 할지, 오징어를 넣을지 말지, 밥을 토렴할지 따로 낼지 등 그 방식은 가게마다, 동네마다, 지역마다 달라진다. 이러한 복잡함은 오히려 콩나물국밥을 단순한 국에서 특별한 메뉴로 격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현지인들은 콩나물국밥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을 묻는 외지인에게 “여기서는 어떻게 시켜요?”라고 되묻는 법을 알려주거나, 혹은 옆자리 손님이 자연스럽게 시키는 방식을 보고 따라 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음식 주문이라는 행위를 넘어, 지역 주민과 방문객 간의 따뜻한 소통의 장을 마련한다. 식당 주인은 손님을 맞이하고, 단골손님은 외지인에게 친절하게 안내하며, 방문객은 제대로 된 방식으로 지역 음식을 맛보는, 이른바 ‘일거삼득’의 경험을 선사한다.
특히 전주 남부시장의 국밥집은 콩나물국밥의 특별함을 더욱 부각시킨다. 차가운 새벽 공기 속에서 국을 끓이고, 손님 앞에서 마늘과 매운 고추를 직접 다져 양념을 만들어 올리는 과정은, 단순한 음식을 넘어 하나의 퍼포먼스를 보는 듯한 경험을 제공한다. 즉석에서 다져진 신선한 양념은 미리 썰어둔 것을 사용하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는 깊은 향과 풍미를 자랑하며, 이는 콩나물국밥의 맛을 한층 끌어올린다.
전주뿐만 아니라 익산, 군산 등 전라북도 전역에는 콩나물국밥으로 명성을 얻은 가게들이 즐비하다. “세 집 건너 하나는 콩나물국밥집”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그 인기가 대단하다. 비록 과음하는 인구가 줄고 먹거리가 다양해진 시대라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전라북도에 방문했을 때 콩나물국밥을 빼놓고는 지역의 참맛을 논하기 어렵다. 심지어 택시기사들에게 맛집을 물어볼 때도, 전통의 명가와 신흥 강호들이 워낙 많아 즉답을 못할 정도로 콩나물국밥의 위상은 높아져 있다. 이는 콩나물국밥이 단순한 서민 음식을 넘어, 지역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담은 명품 식문화로 발전했음을 보여주는 방증이다.
박찬일 셰프는 오랜 시간 동안 음식 재료와 사람들의 이야기를 탐구하며 전국 노포 식당의 이야기를 소개해왔다. 그의 저서 <백년식당>, <추억의 절반은 맛이다> 등을 통해 음식에 담긴 깊은 사연과 문화를 전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