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고조된 우리 문학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실질적인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 확산으로 연결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올해 처음으로 개최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문학이 가진 잠재력을 사회 전반으로 확산시키려는 노력을 담고 있다. 이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기존에 산발적으로 진행되던 국내 대표 문학 행사를 하나의 통합된 틀 안으로 끌어들여 시너지를 창출하고자 기획되었다.
이번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단순히 서울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국 각지의 문학관, 도서관, 서점을 아우르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과의 접점을 넓히고 있다. 특히 ‘문학주간 2025’의 주제 스테이지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은 문학이 ‘또 다른 나를 찾는 여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도움―닿기’라는 올해 문학주간의 주제는 문학이 우리 삶의 균열을 비추고, 서로에게 닿을 수 있는 ‘작은 구름판’이 되기를 바라는 깊은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 이는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춰 숨을 고르고, 타인의 삶에 기대어 함께 도약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자는 의미로 해석된다.
강연을 통해 드러난 ‘글쓰기에 필요한 태도’에 관한 작가들의 진솔한 경험담은 글쓰기의 본질을 다시금 생각하게 했다. “때로는 가장 수치스러운 것을 써야 글이 살아난다”거나 “문장이 삶으로 증명 가능한지 자문해 보라”는 말은 글쓰기가 단순한 기술이 아닌, 자기 고백이자 용기가 필요한 행위임을 일깨워준다. 또한 “예술가가 아니라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써 보라”는 조언은 글쓰기에 대한 막연한 부담감을 덜어주는 현실적인 지침으로 작용했다. 결국 글을 쓰는 일은 자신의 울타리를 넘어 미지의 세계와 만나는 통로라는 점은, 글을 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독자에게도 깊은 울림을 선사했다.
비록 야외 프로그램이 우천으로 일부 취소되는 아쉬움이 있었지만, ‘포켓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와 같은 체험 프로그램은 축제의 즐거움을 더했다. 직접 찍어낸 독특한 책갈피는 축제의 소중한 기억으로 남을 것이다.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첫 회라는 상징성과 더불어, 전국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생활 속 문학축제’로서의 의미를 더하고 있다. 현재 전국 도서관, 서점, 문학관에서는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국내외 작가 초청 행사, 토크, 낭독 무대, 독서대전 등 풍성한 문화 일정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자신이 거주하는 고양시에서는 오는 10월 ‘2025 고양독서대전’이 예정되어 있으며, 9월 독서의 달을 맞아 지역 도서관에서 다양한 연계 행사가 진행 중이다. ‘2025 책 읽는 대한민국’ 프로그램 또한 이번 ‘대한민국 문학축제’와 발맞춰 9월 말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북토크, 공연, 전시 등 다채로운 행사를 선보일 예정이다. 문학은 단순히 책장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읽고, 만나고, 쓰며 즐길 때 비로소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이번 축제가 계기가 되어 더 많은 시민들이 가까운 도서관과 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책 읽는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는 기회를 얻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