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두고, 청년들이 겪는 정체성 탐색 및 문화 향유의 어려움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지난 8월 29일부터 이틀간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더블유젯 스튜디오에서 열린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청년 스스로 자신의 취향을 발견하고 이를 문화와 연결할 수 있도록 돕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했다. 이는 2030 세대의 취향을 반영한 팝업 스토어 형태로 운영되어, 바쁜 일상 속에서 자신만의 문화적 색깔을 잃어가는 청년들에게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전시장의 문을 열자마자 마주한 1층 ‘탐색의 방’은 청년들이 자신의 오래된 취미와 최근 관심사를 되돌아보며 다양한 문화 성향을 탐색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마련되었다. 이곳에서는 ‘나만의 방식으로 만들어봐!’라는 슬로건 아래, 청년들이 오롯이 자신의 경험에 집중하며 ‘내가 정말 좋아하는 것은 무엇일까?’라는 근본적인 물음에 대한 답을 찾아갈 수 있도록 유도했다. MBTI 성격 유형 검사와 같이 흥미롭게 구성된 질문들은 ‘낯섦의 설렘’, ‘쾌감’과 같은 감각적인 표현이나 ‘야구’, ‘일러스트’, ‘서점’과 같은 청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선택지로 제시되어, 자기 자신을 탐색하는 과정을 더욱 즐겁게 만들었다. 체험 후 제공되는 청량한 슬러시 음료는 이러한 탐색 과정에 여유로움을 더했다.
이어서 ‘고민 전당포’ 코너에서는 청년들이 마음 편히 자신의 고민을 나눌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했다. 참가자들은 종이에 자신의 고민을 적어 전당포에 맡기고, 동일한 질문에 대한 타인의 답변이 담긴 종이를 받았다. ‘뭘 해도 의욕 없는 날이 자꾸 길어져서 두려워요. 이런 경험이 있으신가요?’라는 질문에 자신의 생각을 적어 내려가는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스스로 의욕 저하 시기를 극복하고자 했던 방법을 되짚어보게 되었다. 또한, 다른 사람의 답변을 통해 ‘직장 내 인간관계’와 같은 고민을 마주하며 자신만이 힘든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서 묘한 안도감을 느끼고, 낯선 이의 진심이 담긴 조언을 얻는 경험을 했다.
2층 ‘연결의 방’에서는 청년들이 자신의 취향을 직접 활동으로 연결하는 현장이 펼쳐졌다. 독서 모임, 잡지 커뮤니티, 체육 기반 협동조합 등 다양한 단체들이 부스를 마련하여 자신의 취미를 타인과 나눌 수 있도록 도왔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청년정책 제안 온라인 창구인 ‘청년소리의 정원’ 부스에서는 ‘청년 재테크 교육’과 같은 정책 아이디어를 즉석에서 제안하며, 다양한 배경의 청년 의견을 통해 ‘우리가 무엇을 놓치고 있는가’를 고민하는 기회를 가졌다.
3층 ‘영감의 방’에서는 취향이 직업이 된 사람들과 함께하는 강연이 시간대별로 진행되었다. 책을 좋아하는 청년을 위한 ‘작가의 문장이 세상에 닿기까지’ 토크콘서트에서는 민음사 마케팅팀 조아란 부장과 김겨울, 정용문 작가가 책과 독자를 연결하는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실제 경험에서 우러나온 이야기들은 책을 좋아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숨죽여 듣게 될 만큼 흥미로웠으며, 이러한 현직자와의 만남은 청년들의 꿈을 현실로 만드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은 각 층에서 마주한 청년들의 현실적인 고민과 개성 넘치는 취향이 어떻게 문화로 연결되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두고 이러한 행사는 청년정책이 단순히 복지 차원을 넘어 청년의 문화적 욕구와 정체성 탐구까지 아우를 수 있다는 점을 몸소 경험하게 했다. 앞으로도 청년의 날을 전후하여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춘 다양한 문화 행사와 정책 소통의 장이 지속적으로 마련된다면, 청년들이 서로를 격려하고 지지하며 진정한 힘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