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농업은 현재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농촌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농촌 소멸 위기’는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현실이며, 기후 변화와 복잡한 유통 과정은 농산물 생산과 소비에도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안전하고 품질 좋은 농산물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농업 기술 발전의 속도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대한민국 농업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모색하기 위한 중요한 장으로서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가 지난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박람회는 ‘농업과 삶’, ‘농업의 혁신’, ‘색깔 있는 농업’, ‘활기찬 농촌’이라는 네 가지 주제관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진단하고 구체적인 해결책과 비전을 제시했다. ‘농업과 삶’ 주제관에서는 국민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농업의 가치를 조명했다. 특히 올해의 농산물인 감자의 다양한 품종과 이를 활용한 식품, 화장품 등을 소개하며 감자의 무한한 변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공익 직불제와 같이 농업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였으며, 꿀 등급제와 같이 소비자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안심하고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도 소개되었다. 또한, 지역별 쌀 품종의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며 소비자들이 각 요리에 맞는 쌀을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한 점은 농산물 소비 촉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농업의 혁신’관은 첨단 기술이 농업과 융합하는 미래를 보여주며 생산성 향상과 품질 개선이라는 숙제를 해결할 방안을 제시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일 선별 로봇은 기존 방식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불량 과일을 가려내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또한, 품종 개발을 위한 과실 특성 조사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며 소비자들이 익숙한 ‘당도’라는 수치가 어떻게 과학적으로 측정되고 분석되는지를 경험하게 하여, 농산물 품질에 대한 신뢰도를 높였다. ‘색깔 있는 농업’관에서는 K-푸드를 중심으로 한 농업의 다양성과 문화적 가치를 선보이며 농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했다. 캔에 담긴 홍어와 같은 기발한 아이디어는 농업 분야에서도 창의적인 시도가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가장 시급한 문제인 ‘농촌 소멸 위기’에 대한 해결책은 ‘활기찬 농촌’ 관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졌다. 농촌 빈집은행 정책은 유휴 농가를 활용하여 귀농·귀촌 희망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빈집 소유자와 희망자를 공적으로 연결하고 관리·운영을 지원함으로써, 낯선 지역의 빈집을 찾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노후화된 빈집에 대한 수리비 지원까지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이는 더 이상 농촌이 떠나는 곳이 아닌, 새로운 기회를 찾아 ‘돌아오는 곳’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는 각 주제관마다 명확한 문제 제기와 그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며 대한민국 농업의 현재와 미래를 입체적으로 조망했다. 감자의 다양한 활용법부터 AI 기반의 스마트 농업 기술, 그리고 농촌 빈집을 활용한 귀농·귀촌 지원 정책까지, 농업 현장에서 직면한 난제들을 해결하고 농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려는 노력이 돋보였다. 이러한 박람회를 통해 제시된 솔루션들이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이어진다면, 농업은 더 이상 단순한 1차 산업에 머무르지 않고 기술, 문화, 사람을 아우르는 혁신적인 K-농업으로 자리매김하며 대한민국 농업의 강력한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