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춰 서서 예술을 만날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는 점은 많은 시민들이 공감하는 어려움 중 하나이다. 이러한 시민들의 문화적 갈증을 해소하고, 도심 속에서 특별한 문화적 휴식을 제공하기 위해 국립극단이 적극적인 움직임에 나섰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매주 수요일 정오에 열리는 ‘한낮의 명동극’은 바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다.
이 공연은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진행되며,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가장 큰 특징은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이러한 공연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시간적, 경제적 제약으로 문화생활을 쉽게 접하기 어려웠던 시민들에게 예술 경험의 문턱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온다. 국립극단은 1950년 창단 이후 연극계를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꾸준히 질 높은 작품을 선보여 왔으며, 올해는 ‘365일 열려있는 극장’을 표방하며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명동人문학’ 강연 프로그램과 ‘백스테이지 투어’ 등 다양한 무료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시민들과의 접점을 넓히고 있다.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진행된 인형극 <곁에서> 공연은 이러한 국립극단의 노력을 실감하게 했다. 공연 시작을 알리는 안내 방송이 흘러나오자, 명동 거리를 걷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자연스럽게 멈추었다. 단 한 명의 연주자와 가야금 선율, 그리고 소품만으로도 야외마당은 순식간에 작은 극장으로 변모했다. 그림을 그리거나 가위로 가야금 현을 자르는 듯한 과감한 연출은 관객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이끌어냈으며, 연주자가 관객에게 말을 걸고 배역을 주는 등 무대와 객석의 경계가 허물어지며 단순한 수동적 관람이 아닌, 공연의 일부가 되는 몰입감 넘치는 경험을 선사했다. 공연 도중 예상치 못한 선물을 받은 기분이라며 만족감을 표현한 시민의 소감처럼, 이러한 일상 속 짧지만 강렬한 예술 경험은 잊지 못할 특별한 기억으로 남을 것이다.
‘한낮의 명동극’은 국민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려는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도 정확히 맞닿아 있다. 특히 점심시간을 활용해 20~40분 내외로 관람할 수 있는 공연 시간은 직장인들에게도 부담 없이 예술을 즐길 기회를 제공한다. 별도의 예매 절차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는 점 역시 이러한 접근성을 더욱 높인다. 예술은 더 이상 특정 공간이나 시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삶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것이다.
앞으로 남은 ‘문화가 있는 날’ 공연은 9월 24일과 10월 29일이며, 명동 방문이 어려운 경우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문화 혜택을 확인할 수 있다. 할인 혜택, 국공립 시설의 무료 및 연장 개방, 도서관의 ‘두배로 대출’ 등 자신의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가 세분화되어 있다. 국립극단의 ‘한낮의 명동극’과 같은 도심 속 문화 행사는 바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잠시 숨을 고르고 예술을 만끽할 수 있는 소중한 쉼표가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