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춰 서서 예술을 접할 기회가 줄어드는 현상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국립극단이 시민들에게 도심 속에서 문화적 휴식을 제공하며 문제 해결에 나섰다. 국립극단은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한낮의 명동극’이라는 이름의 거리예술 공연을 선보인다.
이 공연은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이러한 예술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평소 시간을 내어 극장을 찾기 어려웠던 직장인, 관광객, 그리고 우연히 길을 지나던 시민들까지도 예술을 자연스럽게 향유할 수 있도록 진입 장벽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국립극단은 1950년 창단 이래 한국 연극계를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꾸준히 질 높은 작품을 선보여왔다. 올해는 ‘365일 열려있는 극장’이라는 표방 아래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다양한 무료 프로그램을 마련하며 시민들의 문화 접근성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화요일 오후 7시 30분에는 ‘명동人문학’ 강연 프로그램을, 매월 넷째 주 토요일 오전 11시에는 명동예술극장의 역사와 연극 제작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백스테이지 투어’를 운영한다.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열린 인형극 <곁에서> 공연은 이러한 노력의 실제적인 사례를 보여주었다. 공연 시작 안내 방송과 함께 명동 거리를 걷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하나둘 멈췄고, 호기심 어린 시선은 이내 이야기에 몰입했다. 단 한 명의 연주자와 가야금 선율, 그리고 다양한 소품만으로 야외마당은 작은 극장으로 변모했다. 그림을 그리거나 가위로 가야금 현을 자르는 과감한 연출은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냈으며, 무대와 객석의 경계는 허물어졌다. 연주자는 공연 중 관객에게 말을 걸고 배역을 부여하며 참여를 유도했다. 이는 단순한 수동적 관람을 넘어 공연의 일부가 되는, 일상 속 짧지만 강렬한 예술 경험을 선사했다.
<한낮의 명동극>은 국민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매월 마지막 수요일에 제정된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도 깊이 맞닿아 있다. 거리예술 공연은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관객층을 확대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 공연 시간은 작품별로 약 20~40분으로 구성되어 점심시간을 알차게 활용하기에 적합하며, 별도의 예매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다만, 공연 중 폭우가 예보될 경우에는 공연 중단 또는 취소가 될 수 있다.
이처럼 국립극단의 ‘한낮의 명동극’은 시민들에게 예상치 못한 문화적 선물이 되어준다. 남은 일정 중 ‘문화가 있는 날’에 만날 수 있는 공연은 9월 24일과 10월 29일이다. 또한,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제공되는 ‘문화가 있는 날’ 혜택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할인 혜택, 국·공립시설 무료 관람 및 연장 개방, 도서관의 ‘두배로 대출’ 등 다양한 항목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100% 즐길 콘텐츠를 찾는다면 명동으로 발걸음을 옮기거나, 거주지 근처에서 열리는 문화 공연을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바쁜 현대 사회를 살아가다 만나는 이러한 작은 무대는 일상 속 쉼표가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