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연휴가 방학처럼 느껴지는 시점에서 문화생활을 제대로 즐기지 못했던 이들에 대한 아쉬움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화 향유의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공연·전시 할인권 2차 배포’를 시작했지만, 실질적인 사용률을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2차 공연·전시 할인 쿠폰 배포는 지난 1차 발행 시 나타났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 유효기간을 기존 6주에서 1주일로 단축하고, 매주 목요일마다 남은 할인권을 재발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발급 후 사용하지 않는 비율을 낮춰 실사용률을 높이고자 하는 분명한 의도를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 9월 25일부터 12월 3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2시에 할인권이 발급되며, 발급받은 할인권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한다. 기간 내에 사용하지 못한 할인권은 자동 소멸되지만, 매주 목요일에 새로운 할인권이 발행되어 지속적으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할인권은 네이버예약, 놀티켓, 멜론티켓,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예스24 등 7개 온라인 예매처에서 발급받을 수 있다. 공연 할인권은 1만 원, 전시 할인권은 3천 원으로, 매주 1인당 2매씩 발급되며 결제 1건당 1매가 적용된다. 전국 어디서나 사용 가능한 쿠폰은 총 결제 금액을 기준으로 할인되기 때문에, 티켓 가격이 할인권 금액보다 낮더라도 여러 장을 구매하여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공연 할인권 1만 5천 원, 전시 할인권 5천 원으로 더 높은 할인율을 제공하여 지역 문화 격차 해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할인 적용 대상은 연극, 뮤지컬, 서양음악(클래식), 한국음악(국악), 무용 등 순수 예술 분야의 공연과 전국 국·공립, 사립 미술관 등에서 진행되는 시각예술 분야 전시 및 아트페어, 비엔날레 등이다. 다만, 대중음악, 대중무용 공연, 산업 박람회 등은 할인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러한 대상 제한은 문화 향유의 저변을 넓히려는 정책의 의도와 맥을 같이 한다.
이러한 할인권 정책은 잠재된 문화 향유 수요를 자극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공연이나 전시 관람을 망설였던 많은 국민들이 할인 혜택을 통해 부담 없이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비싼 티켓 가격으로 인해 문화생활을 자주 즐기기 어려웠던 이들에게는 매주 새롭게 발급되는 할인권을 통해 다양한 공연과 전시를 접할 기회가 넓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의 문화적 삶의 질이 향상되고, 침체된 공연·전시 시장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