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일상 속에서 문화 향유의 기회가 부족하다는 지적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도심 한복판에서 잠시 걸음을 멈춰 예술을 만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화 접근성의 장벽을 낮추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국립극단은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365일 열려있는 극장’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시민들에게 일상 속 문화적 휴식을 선사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특히,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펼쳐지는 ‘한낮의 명동극’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낮의 명동극’은 매주 수요일 정오,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시민들을 맞이한다. 이 공연은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국립극단은 1950년 창단 이래 우리나라 연극계를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오랜 시간 동안 질 높은 작품을 선보여왔으며, 이번 ‘한낮의 명동극’ 또한 이러한 명성을 이어받아 시민들에게 수준 높은 예술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단순히 공연을 관람하는 것을 넘어, 예상치 못한 순간에 마주치는 예술이 일상에 신선한 자극과 감동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열린 인형극 <곁에서> 공연 현장은 ‘한낮의 명동극’이 추구하는 바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공연 시작을 알리는 안내 방송에 명동 거리를 걷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하나둘 멈추었고, 호기심 어린 눈빛으로 무대를 응시하던 이들은 점차 이야기에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단 한 명의 연주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아름다운 가야금 선율과 다채로운 소품들은 야외마당을 마치 작은 극장으로 변모시키는 듯했다. 과감한 연출은 관객의 호응을 이끌어냈으며, 연주자가 공연 도중 관객에게 말을 걸고 배역을 주며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은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허무는 혁신적인 시도였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관객들에게 단순한 수동적 관람이 아닌, 공연의 일부가 되는 능동적인 경험을 선사하며 일상 속에서 짧지만 강렬한 예술적 체험을 가능하게 했다. 실제로 공연을 우연히 관람하게 된 한 시민은 ‘예상치 못한 선물을 받은 기분’이라며 만족감을 표현하기도 했다.
‘한낮의 명동극’은 국민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도 깊이 맥을 같이 한다. 거리예술 공연은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평소 극장 방문이 어려웠던 직장인, 관광객, 그리고 우연히 길을 지나던 시민들까지 자연스럽게 관객으로 끌어들이며 예술의 저변을 확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연 시간은 작품별로 약 20~40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점심시간을 활용하기에도 안성맞춤이다. 별도의 예매 절차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는 점 또한 접근성을 높이는 요소다. 다만, 공연 중 폭우가 예보될 경우에는 공연이 중단되거나 취소될 수 있으므로 사전에 공연 일정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향후 ‘문화가 있는 날’에 ‘한낮의 명동극’을 만나볼 수 있는 마지막 기회는 9월 24일과 10월 29일이다. 혹시 명동을 방문하기 어렵다면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열리는 ‘문화가 있는 날’ 혜택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곳에서는 할인 혜택 정보는 물론, 국·공립 시설의 무료 및 연장 개방 정보, 그리고 도서관의 ‘두배로 대출’과 같은 다양한 문화 혜택 정보를 항목별로 제공하여 개인의 상황에 맞는 선택을 돕는다.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풍요롭게 즐길 콘텐츠를 찾고 있다면 명동으로의 발걸음을 옮겨보는 것은 어떨까. 혹은 자신이 있는 곳에서 펼쳐지는 문화 공연을 찾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이다. 바쁜 현대사회를 살아가면서 잠시 마주치는 작은 무대는 일상에 쉼표와 같은 역할을 하며 삶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