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문화유산인 조선왕릉이 ‘보존’의 대상을 넘어 ‘체험’의 장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2025년 5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는 「조선왕릉대탐미(朝鮮王陵大耽美)」 행사는 8개의 왕릉을 탐방하며 조선의 아름다움을 직접 느끼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다채로운 문화 행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들이 조선왕릉을 방문하는 데 있어 ‘어떻게 하면 더 깊이 있게 즐길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명확한 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혼잡한 인파를 피해 자신만의 속도로 왕릉을 탐구하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조선왕릉대탐미」는 각기 다른 매력을 지닌 8개의 왕릉을 배경으로, 매달 새로운 프로그램과 체험 방향을 제시하며 방문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개인의 취향과 목적에 따라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이 주목할 만하다. 특히, 혼자서도 왕릉의 역사와 아름다움을 충분히 만끽할 수 있도록 마련된 ‘태강릉-왕릉산책 프로그램’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구체적인 솔루션으로 제시된다. 이 프로그램은 10월 25일에 열리는 <왕릉산책: 특별 회차>를 포함하여, 퀴즈를 풀며 왕릉을 거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역사 탐방에 재미를 더한다.
태강릉을 방문하면 1,000원의 개인 요금이 적용되며, 25세에서 65세 내국인은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노원구 주민은 5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고, 별도의 증빙을 갖춘 무료 관람 대상자도 존재한다. 태릉에서 발급받은 입장권으로 강릉까지 입장 가능하며, QR코드로 간편하게 입장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비록 9월 기준으로는 태릉과 강릉을 잇는 숲길이 폐쇄되었으나,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개방될 예정이므로 이 시기에 맞춰 방문하는 것이 좋다. 또한, 태릉과 강릉은 버스로 세 정거장 거리이므로 도보, 대중교통, 자가용 등 편한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왕릉 산책은 홍살문과 정자각에 설치된 QR코드를 통해 오디오 가이드를 들으며 진행된다. QR코드를 스캔하면 바로 영상이 재생되며, 라디오를 듣듯이 자연스럽게 왕릉의 역사와 의미를 배울 수 있다. 어로를 따라 걷다 보면 정자각에 도착하며, 이곳에서는 능에 모신 분을 위한 제례가 열리는 장소의 의미를 상세 설명 문구와 사진을 통해 배울 수 있다. 태릉은 조선 11대 중종의 계비인 문정왕후 윤씨의 능이며, 강릉은 조선 13대 명종과 그의 비인 인순왕후 심씨의 쌍릉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두 능의 차이점이다.
또한, 태릉과 강릉에는 휠체어 및 유모차 대여소가 마련되어 있어 어린 자녀를 동반한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도 편의를 제공한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전문 해설사 없이도 조선을 탐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는 야외 놀이처럼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 가족 간 추억을 쌓는 데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현재 「조선왕릉대탐미」 kapsamında <음악과 함께하는 조선왕릉 이야기길>이 모집 중이며, 10월에는 <음악과 함께하는 조선왕릉 이야기길(광릉)>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예정되어 있다. ‘청소년 자녀’를 둔 가족을 위해서는 <의릉 토크콘서트>나 창작뮤지컬 <드오:태종을 부르다>와 같은 프로그램도 추천할 만하다.
결론적으로, 「조선왕릉대탐미」는 단순히 왕릉을 둘러보는 것을 넘어, 각 왕릉이 가진 역사적 의미와 아름다움을 체험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개인 맞춤형 프로그램과 가족 친화적인 구성은 조선왕릉이 모든 연령대의 국민에게 더욱 가깝고 친근한 문화유산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10월 말까지 이어지는 이번 행사를 통해 방문객들은 조선 시대로 시간 여행을 떠나는 듯한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