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대명절 추석 연휴 기간, 전국 119구급상황관리센터를 중심으로 운영된 비상근무체계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이번 연휴에는 위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전문 상담 인력을 대폭 보강하고 수보대 운영을 증설하는 등 구급상황관리 시스템을 한층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추석 연휴 동안 전국 20개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는 간호사 및 1급 응급구조사 등 전문 상담 인력 204명이 기존 대비 60.4% 증원 배치되었다. 또한, 하루 평균 29대(34.5%)의 수보대를 증설하여 평소보다 급증하는 119 상담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러한 인력 및 장비 강화는 연휴 기간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응급 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초기 대응을 가능하게 했다.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단순히 전화 상담을 넘어, 의료기관 병상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구급 현장과 의료기관 간의 중추적인 조정자 역할을 수행했다. 이를 통해 응급 환자 발생 시 가장 적합한 의료기관을 신속하게 선정하고 이송을 지원함으로써 치료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또한, 질병 상담 및 응급처치 지도를 통해 당장 의료기관 이송이 필요하지 않은 비응급 환자들에게는 자택에서 가능한 응급 대처 방법을 안내하여 불필요한 의료 이용을 줄이고 환자들의 불편을 최소화했다.
실제로 이번 추석 연휴 동안 119 상담 건수는 총 5만 6151건으로, 일평균 8022건에 달해 평시(4616건) 대비 73.8% 증가하는 등 높은 수요를 기록했다. 가장 많은 상담이 집중된 날은 추석 당일이었으며, 상담 항목별로는 병의원 안내가 59.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뒤이어 질병 상담 16.5%, 응급처치 지도 13.2%, 약국 안내 4.1%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민들이 명절 기간 중에도 의료 서비스 이용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을 방증한다.
특히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의 당직 현황 및 병상 정보를 구급대에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중증응급환자 발생 시 이송 병원 선정과 연계 대응에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했다. 이러한 체계적인 협력 시스템을 통해 20개 구급상황관리센터와 현장 구급대 간의 유기적인 협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졌으며, 이는 생명이 위급한 중증응급환자들의 소생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실례로 경북에서는 진료받을 병원을 찾지 못했던 소아 환자들을 서울·경기 지역의 진료 가능한 병원으로 신속하게 연계하여 소방헬기로 긴급 이송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충북과 전북에서는 조산 위험이 있는 임신부를 이송하고 구급차 내에서 출산을 지원하여 산모와 신생아의 생명을 지켰으며, 전남 흑산도에서는 뇌혈관 질환 의심 환자를 해경과 협력하여 육지 의료기관으로 이송, 골든타임 내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
소방청은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 상태에 따라 119구급대 또는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병원을 직접 선정할 수 있도록 병원 선정 주체를 명확화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다. 또한, 현장 구급대원의 신속한 병원 이송을 지원하고, 의료기관이 환자를 우선 수용하여 응급처치 후 필요시 다른 병원으로 전원하는 체계로 개선함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인 응급 이송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많은 의료기관이 문을 닫은 긴 연휴 기간에도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협력으로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며, “불안을 줄이고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이송체계 고도화와 관련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