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이 복잡한 일상 속에서 자신만의 취향을 발견하고 문화적 갈증을 해소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두고 마련된 특별한 행사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은 이러한 청년들의 고민에 귀 기울이고자 기획되었다. 이 행사는 단순히 문화를 소비하는 것을 넘어, 청년들이 스스로를 탐색하고 나아가 문화적으로 연결되며 삶의 영감을 얻는 기회를 제공한다.
8월 29일부터 이틀간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더블유젯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은 2030 세대의 취향을 적극 반영한 팝업 스토어 형태로 운영되어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을 끌었다. 행사의 첫 시작은 ‘탐색의 방’이었다. 이곳에서 참석자들은 오래된 취미와 최근의 관심사를 되돌아보며 자신만의 문화 성향을 찾아가는 시간을 가졌다. ‘MBTI 성격 유형 검사’처럼 흥미롭게 구성된 질문에 대한 답변은 ‘낯섦의 설렘’, ‘쾌감’과 같은 감각적인 표현이나 ‘야구’, ‘일러스트’, ‘서점’과 같이 청년들이 공감할 만한 구체적인 선택지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참석자들은 바쁜 일상 속에서도 오롯이 자신의 경험에 집중하며 나만의 문화 취향을 수집하는 경험을 했다. 체험 후에는 청량한 슬러시 음료가 제공되어 편안하고 여유로운 분위기를 더했다.
이어 ‘고민 전당포’ 코너는 청년들이 마음 편히 고민을 나눌 수 있는 공간으로 마련되었다. 참여자는 자신의 고민을 종이에 적어 전당포에 맡기고, 다른 참여자가 적은 고민이 담긴 종이를 받아 읽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뭘 해도 의욕 없는 날이 자꾸 길어져서 두려워요. 이런 경험이 있으신가요?’라는 질문이 담긴 종이를 받은 한 참여자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나만의 시간을 갖고, 나는 무엇을 할 때 행복한지를 생각한다’는 답변을 작성했다. 익명의 다른 참여자가 ‘직장 내 인간관계’로 인해 의욕이 없어진다는 고민을 마주하며, 자신이 혼자 힘든 것이 아니라는 안도감을 느꼈다고 한다. 낯선 이의 고민과 답변이 마치 자신에게 전해지는 조언처럼 다가오는 경험은 청년들에게 위로와 공감을 선사했다.
2층 ‘연결의 방’에서는 청년들이 자신의 취향을 직접 활동으로 연결하는 다양한 단체들이 참여했다. 독서 모임, 잡지 커뮤니티, 체육 기반 협동조합 등 각양각색의 단체들은 자신들의 취미를 타인과 나누는 자리를 마련했다. 특히 ‘청년소리의 정원’ 부스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청년정책 제안 온라인 창구의 현장 버전이 운영되었다. 이곳에서 참석자들은 즉석에서 ‘청년 재테크 교육’과 같은 정책 아이디어를 제안하며, 다양한 배경의 청년 의견을 통해 자신들이 놓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3층 ‘영감의 방’에서는 취향이 곧 직업이 된 사람들과 함께하는 강연이 시간대별로 진행되었다. 책을 좋아하는 참석자는 출판계 현직자들과 함께하는 ‘작가의 문장이 세상에 닿기까지’ 토크콘서트에 참여하여, 민음사 마케팅팀의 조아란 부장과 김겨울, 정용문 작가로부터 책과 독자를 연결하는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실제 경험에서 우러나온 이야기는 책을 좋아하는 청년들에게 꿈을 현실로 만드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 되었다.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은 각 층의 방에서 마주한 청년들의 현실적인 고민과 개성 넘치는 취향이 어떻게 문화로 연결되는지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둔 시점에서 이러한 경험은 청년들이 단순히 문화를 소비하는 것을 넘어, 자신을 탐색하고, 고민을 나누며, 나아가 정책 제안까지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컸다. 앞으로도 청년의 날을 전후하여 이와 같이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춘 문화 행사와 정책 소통의 장이 지속적으로 마련되어, 청년들이 서로를 격려하며 진정한 힘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