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는 단순한 역사적 섬을 넘어, 잊혀가는 산업의 흔적과 고유한 식문화를 간직한 땅으로 재조명받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고인돌부터 대몽항쟁의 격전지까지, 굵직한 역사의 현장으로 알려졌지만, 최근에는 폐직물 공장의 새로운 변신과 강화의 대표적인 특산물인 새우젓이 품고 있는 깊은 이야기가 주목받고 있다. 이는 과거 강화에서 억척스럽게 삶을 일구었던 여성들의 애환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
도시화와 산업화의 물결 속에 쇠락했던 강화의 직물 산업은 ‘강화소창체험관’과 ‘동광직물 생활문화센터’로 부활의 날갯짓을 하고 있다. 1933년 ‘조양방직’ 설립 이후 1970년대까지 60개가 넘는 방직공장이 성업했던 이곳은, 당시 수원과 함께 대한민국 3대 직물 도시로 이름을 날렸다. 현재까지도 6개의 소창 공장이 옛 방식을 고수하며 소창을 직조하고 있다는 사실은 놀랍기만 하다. 폐업한 ‘동광직물’은 생활문화센터로, 1938년에 지어진 ‘평화직물’ 터는 ‘소창체험관’으로 재단장하며 강화직물의 역사와 문화를 후대에 전하는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소창은 목화솜으로 만든 천으로, 옷이나 행주, 기저귀 등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사용되어 왔다. 일제강점기부터 인도네시아, 파키스탄에서 면화를 수입하며 직물 산업이 번성했던 강화에서는, 12시간씩 교대 근무하며 먼지 속에서 일했던 4,000여 명의 직공들이 있었다. 그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방직 공장 취업을 꿈꿀 만큼, 당시 강화의 경제 활동에서 직물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대했다. 이렇듯 소창의 제조 과정은 단순한 천 만들기를 넘어, 고된 노동과 여성들의 삶의 애환이 깃든 역사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쉰밥, 찬밥에도 곁들여 먹었을 소중한 식재료, 새우젓의 짠맛과도 묘하게 연결되는 지점이다.
강화 새우젓은 서해안 전역에서 잡히는 젓새우와 달리, 드넓은 갯벌과 한강, 임진강 물이 만나는 독특한 지리적 조건 덕분에 탁월한 맛을 자랑한다. 짠맛보다는 들큼하고 담백한 맛이 특징인 강화 새우젓은 늦가을 김장철이면 섬 전체를 들썩이게 할 만큼 귀한 대접을 받는다. 이 새우젓을 활용한 향토 음식 ‘젓국갈비’는 그 존재만으로도 특별함을 드러낸다. 갈비, 호박, 두부, 배추 등 다양한 재료가 어우러지지만, 그 모든 맛을 아우르는 주인공은 단연 새우젓이다. 새우젓 특유의 감칠맛과 슴슴하면서도 깊은 맛의 조화는 인공 조미료로는 흉내 낼 수 없는, ‘대미필담(大味必淡)’ 즉, 참맛은 담백하다는 진리를 보여준다.
강화의 억척스러운 여인들이 직접 방직물을 메고 전국을 다니며 판매했던 ‘방판’ 이야기는 또 다른 감동을 선사한다. 중간 상인 없이 직접 판매하며 마진을 남겼던 그들은, 고된 여정에 배고픔을 달래기 위해 앞치마에 싸 간 강화 새우젓을 찬으로 삼았다. 쉰밥, 찬밥에 곁들였을 그 새우젓 한 점은 팍팍한 삶의 유일한 위안이자 희망이었을 것이다. 이는 함민복 시인의 “눈물은 왜 짠가, 새우젓은 왜 이다지 짠가, 우리네 인생은 왜 이렇게 애잔한가”라는 구절이 단순한 시적 표현을 넘어, 강화 여성들의 삶의 무게와 맞닿아 있음을 느끼게 한다.
강화소창체험관과 동광직물 생활문화센터는 이러한 강화의 숨겨진 역사와 문화를 체험하고 배울 수 있는 소중한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과거의 직물 공장이 단순한 과거의 유물이 아닌,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지역 경제와 문화에 활력을 불어넣는 모습은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강화 새우젓의 깊은 맛과 소창에 담긴 여성들의 애환은, 이 섬이 단순한 관광지를 넘어 한국인의 정서와 삶의 궤적을 느낄 수 있는 특별한 장소임을 증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