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지금 대전환의 길목에서 새로운 도전과 격변의 시대를 마주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5000만 국민과 700만 재외동포가 하나로 뭉쳐 위기를 극복하고 더 큰 도약을 이루어낼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700만 동포들이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광과 발전을 선두에서 이끌어갈 수 있도록 정부는 이들의 권익과 안전을 지키는 데 더욱 힘을 쏟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지난 10월 2일, 서울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개최된 제19회 ‘세계한인의날’ 기념식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을 통해 분명하게 드러났다. 이재명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세계 각지의 700만 동포가 굳건히 조국의 아름다운 영광과 발전을 함께 할 뿐 아니라 선두에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정부는 해외에 계신 우리 국민과 동포 모두의 권익과 안전을 지키는 일에 더욱 힘을 쏟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위기 앞에서 단단히 뭉치고 도전 앞에서 늘 강했던 대한민국 국민과 동포들의 저력을 바탕으로, 700만 동포를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 핵심 동력으로 삼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천명한 것이다.
이러한 국가적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으로 몇 가지 정책 방향이 제시되었다. 첫째, 차세대 동포들이 민족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 문화, 네트워크 형성을 포함한 실질적인 지원이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둘째, 동포 사회의 오랜 염원이었던 복수국적 연령 하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지혜를 모아나갈 계획이다. 셋째, 재외동포들이 해외에서도 대한민국 주권을 용이하게 행사할 수 있도록 선거 투표 환경을 최대한 신속하게 개선하겠다는 약속이 있었다. 더불어 영사가 단순 민원 처리를 넘어 현지 교민들의 충심이 제대로 조직되고 발휘될 수 있도록 영사 기능도 대폭 강화하고 재편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이처럼 700만 재외동포는 단순히 조국을 그리워하는 존재가 아니라, 무수한 역경을 기회로 바꾸며 조국의 미래를 밝히는 등불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동포들과 대한민국이 손을 맞잡고 더 자유롭고 평화로운 세계를 향해 당당히 앞서나갈 때, 5000만 국민과 700만 동포가 하나로 마음을 모아 대한민국의 위기를 이겨내고 확실한 도약을 이루어낼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편, 이날 기념식에서는 91명의 유공동포 중 권홍래 한국브라질장학회 고문을 포함한 6명에게 직접 정부포상이 수여되었으며, 뮤지컬 배우 최정원과 고려인어린이합창단의 ‘내 나라 대한’ 합창이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 특히 2017년 광주 고려인마을에서 창단된 고려인어린이합창단은 고려인 문화와 역사를 알리고 정체성을 고취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해외에서도 변치 않는 조국 사랑과 민족 정체성의 뿌리를 노래하는 곡을 통해 세대를 잇는 애국의 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기념식 마지막은 전 세계의 빛이 대한민국으로 결집되는 퍼포먼스로 마무리되며 재외동포와 모국이 이어지는 연결과 미래 도약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세계한인의 날은 매년 10월 5일이며, 2007년 법정기념일로 제정된 이래 재외동포의 공헌을 기리고 모국과의 유대 강화를 다지는 행사로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