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AI 기술의 발전 속도가 가속화되면서, 이를 둘러싼 국가 간 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AI 모델의 성능을 좌우하는 GPU 인프라 구축 경쟁과 함께, AI의 미래를 결정지을 초지능(AGI/ASI)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이 현재의 AI G3 수준 달성을 넘어, 미래 AI 경쟁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한국은 세계 수준의 AI 모델 구축과 국가 AI 인프라 조성에 힘쓰고 있으며, 이는 소버린 AI 실현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만으로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막대한 투자와 빠른 기술 발전 속도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이미 글로벌 기업들은 100만 장 이상의 GPU를 갖춘 슈퍼클러스트 구축 계획을 발표하며 AI 모델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AI 모델의 발전은 몇 개월 안에 선두가 바뀔 정도로 치열한 경쟁을 보이고 있으며, 현재의 대규모 사전 학습 및 강화학습 방식이 인간을 넘어서는 초지능 구현을 보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AI 분야의 선구자들과 일부 연구자들은 현행 AI 접근 방식의 한계를 지적하며, 새로운 접근법과 모델, 알고리듬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딥마인드의 제프리 힌턴 교수, 뉴욕대학의 얀 르쿤 교수, 몬트리올 대학의 요수아 벤지오 교수 등 AI 석학들이 이러한 변화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알파고 개발에 기여한 데이비드 실버는 인간 데이터 학습 시대를 넘어 AI가 직접 세상을 경험하며 학습하는 시대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2017년 등장한 트랜스포머 아키텍처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이를 넘어서는 혁신적인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들이 대규모로 활용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처럼 AI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앤스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와 오픈AI의 데미스 허사비스는 2027년 또는 2030년경 인간을 넘어서는 AGI 또는 ASI의 등장을 예고하고 있다. 영국 총리가 AGI의 변화를 언급하며 선도 의지를 밝힌 것처럼, 미국과 중국 역시 AI 기술 패권을 잡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흐름 속에서 한국이 선택의 기로에 놓여 있다고 해도, 전략적 필수불가결성을 갖춘다면 유연하고 전략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현재 AI 반도체 관련 기술에 집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음 단계의 AI 모델 개발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확보한다면 한국은 또 다른 카드를 가지게 될 것이다.
초지능의 구현 시점과 주체는 아직 불확실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관련 투자가 집중되고 있다. 메타는 초지능 연구소(MSL)를 설립하고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오픈AI 출신 일리야 수츠케버는 안전 초지능 회사(SSI) 설립에 20억 달러를 유치했다. 만약 향후 5년간 100조 원의 AI 국가 전략 자금 중 1%라도 진짜 미래 AI 연구에 투자한다면, 이는 국가적 차원에서 차세대 AI 기술을 선도할 인재를 육성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미래 AI 연구소에는 AI 전공자뿐만 아니라 철학자, 수학자, 언어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필요하다. 앤스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는 이러한 인력 구성을 통해 지능의 복잡성을 해결하고자 한다. 한국 역시 AI 연구자를 중심으로 언어학자, 뇌과학자, 물리학자, 수학자 등이 모여 통합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나아가,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미래 가능성이 있는 해외 연구팀을 초빙하여 대한민국 초지능 연구소에서 자유롭게 연구하게 하고, 그 결과물을 인류 모두의 공공재로 제공하는 비전을 꿈꿔볼 수 있다. 한국을 포함한 세계적인 AI 연구자들을 초빙하여 마음껏 연구할 수 있는 AI 파운드리(데이터 센터)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시각으로 디지털 지능에 접근하도록 지원하는 국가 초지능 연구소를 대한민국이 만들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