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대형 화재 및 붕괴사고와 같은 복합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국가 차원의 재난 관리 패러다임 전환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국가적 과제는 과학기술 및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한 재난·안전 대응체계 강화라는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 추진 방향과도 맥을 같이 한다. 급격히 심화하는 기후위기와 인공지능(AI) 시대의 도래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소방청은 기존의 자율기구였던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전격 개편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이러한 시대적 문제와 정책적 방향에 발맞춘 중요한 조치이다.
새롭게 개편되는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기존의 첨단 장비 연구개발 및 기획 업무를 넘어, 소방 현장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혁신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소방 정책 전반에 인공지능을 포함한 첨단 과학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과제를 발굴하고, 이에 대한 기술 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이는 단순한 장비 도입을 넘어,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접근을 통해 재난 예측, 대응, 복구 전 과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소방청은 이러한 조직 혁신을 통해 첨단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재난 대응 체계를 확립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안전 서비스를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정책은 기후위기 시대에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라며,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에 닥쳐올 재난에도 강한 안전사회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조직 개편은 미래 재난 환경에 대한 소방청의 능동적이고 선제적인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국민의 안전을 더욱 굳건히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